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뉴스
"
이중
"(으)로 총 1,522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도움 없이 단백질이 직접 아미노산 만들어
2015.01.04
알려져 있다. 이는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센트럴 도그마)’로 알려진 개념으로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낸 프란시스 크릭이 1958년 제시한 뒤 오늘날까지 생물학 교과서에서 핵심원리로 다뤄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연구진이 중심원리를 뒤흔드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피터 쉔 미국 ... ...
자석으로 DNA
이중
나선 10분 안에 푼다
2014.12.29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DNA 나노구조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윤태영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기존에 수 십 시간 걸리던 DNA 나노구조 제작 시간을 10분 이내로 단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생물체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DNA는 A(아데닌)과 G(구아닌) ... ...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중
층 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중
층 페로브스카이트는 촉매 기능은 물론 이온과 전자를 잘 전달하는 등 전극이 갖춰야할 모든 요소를 충족해 장시간 안정적이면서도 전기를 높은 출력으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단위면적(㎠)당 0.5와트(W)에 ... ...
[STAP 세포 논란 사실상 종결] “STAP 세포는 없다”
2014.12.21
NIH) 사이트의 내용을 복사하고 이미지를 유용하는 등 26곳에서 문제가 드러났으며
이중
6개는 고의성이 인정됐다. 이에 대해 일본 와세다대는 10월 7일 오보카타 연구원(당시 연구주임)에게 수여한 박사학위 취소 결정을 내렸고, 1년 정도의 유예기간을 설정해 이 기간에 다시 논문을 제출하면 ... ...
한국뇌연구원 신청사 4일 준공
2014.12.03
신청사는 뇌의 모양을 따서 각각 좌뇌와 우뇌를 상징하는 두 건물로 이뤄졌다.
이중
좌뇌에 해당하는 건물이 지난해 2월 4일 착공해 이번에 1단계 준공된 것이다. 우뇌에 해당하는 건물은 2016년 착공해 2018년 준공될 예정이다. 이번에 준공한 좌뇌 건물에는 연구실험실과 동물실험실 등 ... ...
복수정답 생명과학Ⅱ 만점자 64명뿐
동아일보
l
2014.12.03
난도는 가장 높고 수학B의 변별력은 거의 없는 해여서 복수정답 인정 때문에
이중
으로 불리해진 수험생들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 ...
‘DNA 아버지’ 제임스 왓슨은 인종차별주의자였나
2014.12.01
열리는 경매에 내놓을 예정이다. 왓슨은 영국의 생물학자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DNA의
이중
나선구조를 밝혀내고 1953년 4월 25일 ‘네이처’에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 당시에만 해도 큰 주목을 받진 못했으나 생물학이 발달하면서 왓슨과 크릭이 제시한 DNA 구조의 중요성과 타당성이 인정되면서 196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자체가 주는 괴로움 뿐 아니라 ‘정신병 환자’라는 사회적인 낙인까지 감당해야 하는
이중
고에 시달리게 된다고 말한다. 난치성 질환인 암의 경우 지난 수십 년간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가 진행되면서 원인 규명은 물론 치료법도 많이 발전했다. 반면 우울증의 경우 아직까지 왜 생기는지, 어떻게 ... ...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등의 기체를 주입해 하이드레이트층에서 메탄가스를 얻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이중
질소를 이용해 천연가스를 얻는 기술로는 2012년 4월 미국 알래스카 노스슬로프에서 실제로 하이드레이트를 시험 생산해 상업화 검증을 받기도 했다. 공기를 주입해 심해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는 모습. -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이 행사는 4시간 만에 6900여 명이 다녀가며 대성공을 거뒀다. 스미스 소장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은 영국 생명과학계의 ‘자존심’”이라며 “크릭의 이름을 붙인 연구소인 만큼 줄기세포, 뇌 과학, 유전자 연구 등 생명과학 전반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진행할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