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뉴스
"
선임
"(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창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스마트섬유융합연구실
선임
연구원(오른쪽)과 손원경 연구원 연구팀은 에너지 발전과 저장, 터치 감지까지 가능한 투명한 배터리 소재를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이번 연구는 DGIST와 성균관대, 연세대, 한양대, ... ...
전기 흘려 물속 오염물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앞당길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종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선임
연구원 연구팀은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물속 오염물 분해효율을 보이는 촉매와 관련 공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강화된 수질 규제와 높아진 수질 개선 요구에 따라 수처리 방식에 대한 관심도 ... ...
기초연구 10년간 뜬 단어는 ‘AI·빅데이터’ 진 단어 ‘유전자·나노’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수는 없다고 연구재단은 밝혔다. 이번 분석을 주도한 박귀순 한국연구재단 정책혁신팀
선임
연구원은 “등장하는 키워드의 수 자체는 여전히 이들 분야가 많다”며 “다만 다른 분야가 부상하면서 상대적인 순위가 내려갔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바이오 분야의 명암은 최근 ... ...
양자컴퓨터 구현할 양자물리계 핵심 두 개념 관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따른 양자정보 변화 정도에 따라 기하학적 위상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선임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큐비트 양자상태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며 “기하학적 위상은 큐비트의 양자적 특성을 유지하는데 도움되기에 향후 양자컴퓨팅 분야 등 양자정보처리연구에도 기여할 ... ...
'양초' 성분으로 차세대 소재 그래핀 주름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특유의 나뭇잎맥 모양 주름과 잔여물이 없이 깨끗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홍진용
선임
연구원은 “그동안 그래핀 상용화를 가로막았던 전사 과정에서의 구조적 안정성과 그래핀 고유 특성 유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했다”면서 “그래핀을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 ...
“연구자 발명 권장하려면 조세제도부터 바꿔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교수와 백융기 연세대 교수, 설원식 숙명여대 산학협력단장, 안상훈 한국개발여구원
선임
연구위원, 안진호 한양대 교수, 정영룡 한국대학기술이전협회 부회장 이 나선다.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은 2017년 대표발의한 발명진흥법 제2조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취지를 설명한다. ... ...
[과학게시판] 혁신성장동력 규제개선 공청회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6일 서울 타워8에서 한국국제협력단과 함께 '우즈베키스탄
선임
연구원 및 중간관리자를 위한 ICT역량 강화 초청연수’ 입교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해당 연수는 ICT를 활용해 행정 시스템과 대국민 서비스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한국 ... ...
"다시 깨어나는 활화산 백두산 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천지 내 이산화탄소 측정 및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지강현 지질연
선임
연구원은 2004년 일어난 미국 서북부 세인트헬렌스 화산 분화를 체계적인 화산 감시망 구축을 통해 어떻게 미리 예측하고 경고할 수 있었는지 사례를 분석해 발표한다. 세인트헬렌스 화산은 1980년 5월 123년 만에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특징을 밝힐 차례다. 이것은 우주의 역사를 밝힐 단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
선임
연구원은 “가장 보기 어려웠던 초미세 지역에서 발생하는 천체물리학적 현상을 관측 기술의 발전을 통해 연구했다”며 “블랙홀은 크기는 작지만 영향력은 우주 전체에 미친다. 연구가 진행될수록 우주에 대해 ... ...
“다음 목표는 블랙홀 ‘동영상’ 촬영" 한국 전파망원경 참여도 타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주도한 연구자는 노벨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선임
연구원은 “가장 보기 어려웠던 초미세 지역에서 발생하는 천체물리학적 현상을 관측기술의 발전을 통해 연구했다”며 “블랙홀은 크기는 작지만 영향력은 우주 전체에 미친다. 연구가 진행될수록 우주에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