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아래"(으)로 총 4,2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야기 클럽] 비 오는 날의 맑은 하늘포스팅 l20211019
- 5분도 채 남지 않았다. 이상한 하늘에 대해서는 나중에 생각하기로 했다. 어느새 비가 그쳐 우산은 필요가 없었다. 맑은 하늘 아래 나 있는 길을 따라 학교로 뛰어갔다. 딩동댕동-자리에 앉자마자 종이 울렸다. 선생님이 들어오시고 수업이 시작됐다. 학교에서 그나마 안심할 수 있는 시간이다. 가방에서 책과 필기도구를 꺼내 수업에 집중했다.ㆍㆍㆍ어느새 ...
- 국립수목원 제 15회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참가 후기기사 l20211018
- 많이 도와주셨지만, 4분의 박사님들(각각 버섯, 지의류, 식물, 곤충 박사님)이 동정을 감사하게도 자세히 도와주셔서 좋았습니다. 아래는 관찰한 산림생물종들의 일부입니다. 가시여뀌 (Persicaria dissitiflora) 녹청균 도롱뇽 (Hynobius leechi) 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독버섯 ...
- 다시 돌아온 미라기사 l20211018
- 해충번식을 막았어요. 먼저 뇌를 비롯해 내장을 모두 꺼내고 몸속을 씻은 뒤 향신료로 채윘어요.이때 꺼낸 내장중 뇌를 뺀 나머지는 아래의 사진처럼 생긴 카노푸스 라는 병에 담아 무덤에 넣었어요. 이렇게 처리한 시신은 천연소금을 사용해 70일 동안 탈수 시키고 신체 곳곳에 부적을 놓은 뒤 관에 넣었어요. 또 투탕카멘 처럼 마스크를 씨우기도 했어 ...
- [시민과학풀씨] 기후변화지표종, 남방노랑나비 사육 일기!기사 l20211017
- 전용상태였던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하는 과정을 음악을 섞어 빠르게 돌린 영상이에요. 머리부터 갈라지기 시작해서, 껍데기가 점점 아래로 내려가고 있어요. 번데기가 젤리처럼 광택이 나는 빛나는 연두색이었어요. 계속 일반 동영상으로만 보다가, 이렇게 직접 찍은 영상을 빨리돌려보니 뭔가 색다르네요^^! 2021. 9. 27. : 번데기가 말라서 노 ...
- 에 출연하실 분 구합니다(선착 1명)포스팅 l20211016
- 여자( GL절대아닙니다.)친구 이름은? 4. 주인공의 머리색과 눈동자색은? 4문제 모두 맞춰야합니다!! 기억이 안 난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 알아보세요 여태까지 빛의 아이를 1화부터 계속 봐온 사람이라면 맞출 수 있도록 쉬운 난이도의 문제입니다. 빛의 아이 1화: https://kids.dongascience.com/pre ...
- 오늘은 참 이상한 날이네요...포스팅 l20211016
- 1,미술학원에서 데셍만 했습니다... 2,이건 진짜 말하기 그런데요... 아래로 가세요... ...
- 리퀘 공방 2차 개장 (인데 마감됨)포스팅 l20211015
- ● (손ㅇ서님) (양식 제출 완료) ● (김ㅌ인님) (양식 제출 완료) C타입 깔끔한 선과 풀채색 형식의 타입입니다! 퀄리티는 아래 샘플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최소 허리부터 전신입니다! 가격: 35 DS 슬롯 수: 1 ● (오ㅇ경님) 신청하실 경우 주의사항을 적어놓았습니다! 1. 퀄리티와 시간 ...
- 단편소재 투표!! 이거 보는 사람들 모두모두 참여해주긔ㅣ ~~~포스팅 l20211015
- 빤따지/4. 이름찾아 삼만리※ 몽롱한 분위기입니다/5. 탄압과 억제6. 고결주의7. 오존주의보8. 배신과 배반/9. 설원[雪園]/10. Dear my ****/맨 아래 8, 9, 10번은 옛날에 소재 투표할 때 후보에 있었던 글이에요! 기억하시는 분?? 그땐 짧은 줄거리도 설명했었느넫 이번엔 없다는...ㅋㅋㅋㅋ뒤에 건 귀찮아서 짧은 설명도 안넣 ...
- 싱크홀, 왜 발생하고 얼마나 위험할까? 영화 을 보고...기사 l20211014
- 이 때문에 땅 아래에서 흐르던 지하수가 방향을 바꾸거나 유입이 감소하면서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답니다. 일반적으로는 지반 아래에서는 물과 흙이 동시에 상부의 지반을 떠받치고 있는 경우가 많답니다. 이를 '전응력'이라고 하는데 지하수 양과 방향의 변화로 이 전응력의 균형이 무너지며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잇다는 것이지요. 이렇듯 도 ...
- 분리수거한 재활용 쓰레기, 어떻게 될까?기사 l20211014
- 유리는 어떨까요? 유리의 재활용 과정도 캔과 비슷합니다. 먼저, 유리를 모아서 색깔별로 분류합니다. 흰색,갈색,녹색으로 말이죠. 아래의 병은 갈색으로 분류되겠군요. 그 다음 고온에서 녹인 후 냉각시켜 여러 제품으로 만드는 것이죠. 하지만 이물질이 있으면 재활용이 어려우니 잘 제거해서 버리셔야 한다는거~ (출처:이건 기자) 플라스틱 이번에는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