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선박 여행
d라이브러리
"
향해
"(으)로 총 1,79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이야기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남쪽과 북쪽의 바다에는 언제나 바닷물이 거대한 규모로 계속 돌아가고 있다. 적도를
향해
찬물과 빙산까지 끌고 내려오는 한류가 있고 극지방까지 물을 운반하는 난류가 있다.난류가 10℃의 온도차가 있는 한대 지방으로 흘러가면 1㎦의 물은 석탄 약 1백50만t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열량을 운반한다.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젊은이들의 옷차림에서 볼 수 있다. 몸에 찰싹 달라붙는 청바지에서는 페니스가 배꼽을
향해
수직으로 올려져 있기 때문에 눈썰미가 좋은 처녀라면 금방 페니스임을 눈치챌 수 있을만큼 부풀어 있다.페니스를 과장하기 위해 바지의 옷감과 색상에 차이를 두거나 상징적인 장식품을 사용하기도 했다. ... ...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시작된다. 그 뒤로도 수차례에 걸쳐 이 현상이 목격되는데, 그것은 바로 지구를
향해
화성을 떠나는 우주선들의 모습이었다. 문어처럼 흉측하게 생긴 화성인들은 도착하자마자 지구를 쑥밭으로 만들어버린다. 그러다가 인간에게 아무런 해가 없는 부패 박테리아에 의해 화성인들이 전멸당하는 ... ...
권위의 상징 문장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육중한 갑옷을 입고 전쟁터에 나서는 중세의 기사. 무기를 점검하고 말을 탄 적진을
향해
돌진한다. 싸움이 시작되면 적군과 아군이 뒤엉켜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기 어렵다. 투구로 얼굴을 가렸기 때문에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탓이다. 이때 기사들이 적군을 재빨리 파악할 수 ... ...
여름밤 은하수 위를 훨훨 나는 독수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사람도 있을 것이다. 견우별로부터 10도 북쪽을 보면 화살모양의 작은 별자리가 동쪽을
향해
날아가고 있다. 화살자리는 쌍안경으로 보면 밝은 화살촉 전체가 한시야에 들어와 꽤 매력적으로 보인다.화살자리에 대한 전설은 아폴론이 외눈박이 키클로프스를 죽일 때 사용했다는 설이 있지만, 가장 ... ...
유럽정원의 꽃, 물 축제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다시 지하로 흐르는 물은 ‘물 유희’의 절정을 이루는 ‘촛불 분수’로 이어진다. 위를
향해
낮게 솟아 오르는 분수의 물줄기가 마치 촛불의 불꽃처럼 보여 이름이 붙여졌다.‘촛불 분수’ 상부는 정원 하부의 화단을 가장 아름답게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부터 지하로 흐르는 물이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행운으로 기록될지 불운으로 기록될지 궁금했다.그들은 달맞이 축제를 하듯 혜성을
향해
잔을 높이 올렸다. 건배! 소리가 울렸다. 그 순간 그들은 그 자세로 굳어버리고 말았다. 아무도 말을 하지 못했다. 그들은 입을 쩍 벌린 채 하늘만 바라보고 있었다. 그들의 시선이 닿은 곳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내용은 이렇다.화려한 은회색의 짧은 미니 차림을 한 여자가 집안으로 들어온 뒤 창문을
향해
박수를 치면 오케스트라의 모습이 유리창에 하나 가득 나타난다. 마치 처음부터 거대한 스크린이기라도 됐던 것처럼. 다시 박수를 치자 이번에는 영상이 봄, 여름, 가을, 겨울 풍경으로 변해간다. 벽의 ... ...
② 수익체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나는 어떤 재원을 가지고 있는가. 넷째, 다음 게임은 무엇인가.이 질문을 우리 내부를
향해
던진다면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젊은 경영자와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관리들은 어떤 답을 내놓을지 궁금하다. 혹시 요즘 온나라를 들뜨게 하고 있는 ‘미래 한국의 희망’ 벤처기업은 ‘바로 되먹임’이 ... ...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에셔의 이 작품은 인생에 대한 비관주의적 주제를 담고 있다. 우리는 계속 어딘가를
향해
올라간다고 상상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자리만을 맴돌고 있을 뿐이다.에셔의 '폭포'(1961)역시 불가능한 도형을 이용한 작품이다. 건물의 꼭대기에서 떨어진 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자연스럽게'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