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사슬 중
한쪽
사슬의 염기배열을 RNA 사슬로 전사한 구조를 가진 것 mRNA라고 약칭한다DNA의 형질 발현에 있어서 유전정보는 DNA→RNA→단백질로 전달되어 단백질 속의 아미노산 배열이 결정된다이 과정에서 DNA에서 ... ...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다리 하나가 부러진채 죽고 말았다.게자리를 잘 살펴보면
한쪽
집게발이 보이지 않는데, 그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란다. 또 헤라클레스에게 밟힐 때 게에게서 떨어져 나간 집게발은 황소자리의 게성운이 되지 않았을까.그렇다면 빨간 게의 집게발처럼 생긴 게성운의 정체는 ... ...
자연의 나선 모방한 수학적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만들어진다. 즉 서로 반대되는 것끼리 충돌하면 나선형이 생기는 것이다. 이때 나선은
한쪽
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며 만들어진다. 노가 만들어낸 물의 나선들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처럼 말이다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자신의 e메일에 사용했다. 이모티콘의 원조는 아직 논란중이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중
한쪽
의 기능이 비활성화(非活性化)하는 현상 고등포유동물에서 나타난다X염색체 위에 유해유전자(有害遺傳子)가 있을 경우, 왜 암컷은 X염색체가 1개인 수컷보다 유전적 결함이 심하지 않은가, 또 XX인 암컷의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갖고 있는 한쌍의 X염색체 중
한쪽
의 X염색체에 존재하는 모든 CpG 섬은 메틸화돼 있다.
한쪽
염색체로부터의 유전자들의 발현이 억제됨으로써 X를 하나 갖고 있는 남성과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결국 CpG 섬의 메틸화 현상은 특수한 목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특수한 분자적 네트워크로 발달된 ... ...
최장수 여성 장관의 비결은 과학자 경력 김명자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처리처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모든 일에 화학이 빠질 수 없어요.”김 장관의 업무실
한쪽
벽에는 깨알같이 작은 글씨들로 가득찬 액자가 걸려있다. 최장수 여성장관 기록 경신 기념으로 환경부 직원 2백여명이 축하의 글을 남긴 것이다. 어떤 내용이 제일 마음에 드냐는 질문에 김 장관은 선뜻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끝나지 않았다. 반대편의 주장과 찬성하는 이의 근거는 나름대로 일리가 있으며 어느
한쪽
만 틀렸다고 말하기 어렵다. 배간사는 “생명공학의 경우 그 연구결과가 현실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를 연구하는 과학자가 어떤 정치적 입장을 띠느냐에 따라 연구결과가 극단적으로 달라질 수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위해 고도 3만6천km가 넘는 곳에 인공위성이나 소행성을 갖다놓고 여기에 케이블의 다른
한쪽
을 묶어둔다.왜 우주엘리베이터를 이렇게 만들까. 만일 우주엘리베이터의 케이블이 아무 것에도 고정되지 않은 채 우주공간에 놓인다면 지구 중력 때문에 금방 무너지고 말 것이다. 다행히 지구를 도는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단층면을 따라 분지의 기반(基盤)지형이 함몰(陷沒)하여 생긴 단층분지의 하나 즉,
한쪽
은 급경사의 산지이고 반대쪽은 경동지괴(傾動地塊)의 뒷면에 의해 막혀 있는 분지를 말한다대개 단층으로 막혀 있는 쪽의 가장자리는 직선적이지만 그 반대쪽의 가장자리는 들쭉날쭉하다중국 산시성(陜西省)과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自立航法) 시스템의 하나이며 장거리의 해상비행에 알맞다파원(波源)과 관측자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운동하고 있을 때 관측자에게 관측되는 파원의 진동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