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번 반복해 그리는 것을 생각했어요. 지름이 매우 짧아지면 그 반원의 호의 길이와 같아진다는 극한의 개념을 사용한 겁니다. π 암송 영상은 그 긴 시간 동안 제가 직접 π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하나씩 읽고 있었던 것은 아니에요. 코딩을 이용해 π를 읽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죠. 향후 제 채널에서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쌀, ‘황새랑 쌀’과 ‘황새의 비상’을 유통하고 황새 복원과 관련한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황새는 한 지역의 텃새가 돼 머물러 살기도 하지만,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옮기며 철새로 살아가기도 한다. 유난히 추웠던 이번 겨울, 한반도에선 러시아나 중국 등지에서 월동하러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종족의 지배를 받던 수많은 다른 종족들이 독립 운동에 나서며 은하계는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게 됐다. 이것이 바로, 은하계 역사의 전근대와 근대를 가르는 중요한 기점으로 자리 잡은 우리우리스 대분열이다.지금 별님 아파트로 돌아온 고양이는 사람 손이 닿기 어려운 축대 높은 곳에 올라가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제트기류, 체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영단어 ‘somatic’에 작은 방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영단어 cell(세포)가 더해진 말이에요. 이름처럼 체세포는 생물의 피부, 장기 등 여러 조직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지요. 생물은 체세포에 종별로 같은 수의 염색체*를 갖고 있어요. 예를 들어 사람은 체세포에 46개의 염색체, 고양이는 38개의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AI는 1~3단계를 반복하며 손실함수의 값이 최소가 되는 가중치를 찾습니다. 무궁무진한 딥러닝의 세계! 앞서 설명한 퍼셉트론을 몇 개 연결하냐에 따라 딥러닝은 더욱 똑똑해질 수 있어. 물론 아직 완벽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할 일이 많지만 말야. 오늘은 내가 딥러닝으로 즐기는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배수여야 합니다. 작도문제에서는 그리고자 하는 변의 길이가 유리수인 계수로만 이뤄진 유한 차수 방정식의 근인 ‘대수적 수’여야 합니다. 그런데 1761년 독일 수학자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π는 대수적 수가 아님을 밝혔고, 1882년에는 또 다른 독일의 수학자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이 린데만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원이 수학에서 특별한 존재인 만큼 원의 대칭으로 이뤄진 군 역시 수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쓰이는 것을 아시겠죠? 파이데이 행사에 참여해 본 독자들도 원의 대칭과 군론의 관계를 들어본 적은 별로 없었을 겁니다, 이번 파이데이에는 원의 완벽한 대칭을 보며 군론에도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구성을 탐구하며 점차 입체주의(큐비즘) 성향을 드러냈다. 이후 색과 선으로만 이뤄진 기하학적인 추상화를 그리면서 몬드리안만의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했다. 한편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작품활동 내내 밝고 다양한 색채를 이용한 일관된 스타일을 고수하며 인상주의 대표 작가로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국에서 지구대기과학을 공부하던 중 지구와 가장 닮은 행성이자 매우 다른 대기를 가진 금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유럽우주국(ESA)의 금성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아카쓰키 팀에서 금성 연구를 했다. 현재 독일 베를린공대에서 ESA-JAXA의 베피콜롬보팀,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난해 7월 발표한 논문 역시 10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코로나19 전파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연구팀은 지난해 1월 20일부터 3월 27일 사이 코로나19 환자 5706명이 다른 사람과 접촉한 5만 9073건의 사례를 나이대 별로 분석해 전파 확률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9세 미만 소아 환자의 접촉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