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느덧 2020년도 마침표를 찍는다. 올해는 전 세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광풍에 휩쓸린 한 해였다. 과학기술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코로나19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 거의 모든 관심이 집중됐다. 코로나19를 비롯해 올해 과학동아가 주목한 과학 이슈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 ... ...
- [과학뉴스] 백악기 대멸종의 원인은 소행성 충돌 ‘각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약 66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소행성이 멕시코 유카탄반도 인근 칙술루브에 떨어졌어요. 이 충격으로 공룡을 비롯한 지구의 생명체 75%가 멸종됐지요. 과학자들은 이 소행성이 대멸종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해왔어요. 5월 28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지구과학공학과 캐러스 콜린 교수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달의 퀴즈달이 해를 가리는 천문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다가오는 6월 21일은 일 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예요. 태양이 머리 위에 가장 높게 뜨는 날이죠. 그래서 일 년 중 가장 짧은 그림자를 볼 수 있는 날이랍니다. 잊지 말고 하짓날 오후 12시 30분 자신의 가장 짧은 그림자를 구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나는야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 오늘 수산물 시장에 아주 큰 싸움이 났다고 해서 달려가봤어. 그런데 이게 웬일이야? 두 사장님 때문에 콩알 만한 새우 등이 터질 모양이네?!●크릴 크릴은 새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혀 다른 종이에요. 동물성 플랑크톤의 한 종류로, ‘난바다곤쟁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 해가 벌써 다 가고 곧 새해입니다. 지구가 1억 5000만km 떨어진 태양 주위를 초속 약 30km로 한 바퀴 공전하는 동안 정말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슈에 전부 묻혀 버린 감이 있지만요. 이 글을 쓰는 11월 말도 감염 상황이 좋진 않은데, 전 세계 과학자들이 밤낮 ... ...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금까지 핵융합 에너지는 꿈속에서만 존재할 정도로 실현해내기 어려운 기술이라는 의미로 ‘꿈의 에너지’라 불렸다. 하지만 이제는 꿈에서 깨어나야 할 때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의 주장치가 올해 여름부터 본격적인 조립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ITER 공동연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태양의 핵융합 반응을 그대로 재현해 무한한 친환경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핵융합 에너지. 과학계에선 그 중요성이 오랫동안 강조돼 왔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여전히 생소한 에너지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는 도저히 해결되지 않던 핵융합 에너지에 대한 궁금증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만 1927개.미국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초대형 프로젝트 ‘스타링크’에 포함된 인공위성의 수다. 스페이스X는 작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이중 800여 대를 발사했다. 세계적인 IT 기업 아마존도 앞으로 지구 저궤도에 3236개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예정이다. 이중 절반은 2026년까지, 나머지 절반은 ... ...
- [스쿨리포트 A+ ] 과학시간 야외 관찰, 교내 암석 보물찾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❶ 교과 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지각에 분포하는 다양한 암석 중 화성암과 퇴적암, 변성암 등을 대표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중학교 1학년 ‘지권의 변화’ 단원이나 고등학교 3학년 ‘지구 구성 물질과 자원’ 단원 등은 지각을 이루는 암석을 생성 과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는 학 ... ...
- 182일 간의 항해, 2020 남극 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난 4월 29일, 남극으로 발을 내디뎠던 탐험가들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타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아라온호가 182일간 이동한 거리는 무려 5만 7000km로, 지구의 한 바퀴 반에 해당하는 엄청난 여행길이었죠. 신비로운 남극에선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 이어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