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으)로 총 3,7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많다. 번개가 치고 전류가 건물을 타고 몸으로 흐를 수 있으므로 건물 옆은 위험한 장소다.집 안에서도 주의하자!밖에 번개가 치면 실내에서는 창문과 출입문을 닫고 전기제품, 금속가스관과 같은 물체로부터 1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욕실설비는 전기가 통하기 쉽기 때문에 가급적 샤워를 ... ...
- ‘지지리 마란드러’ 여름방학숙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사라져 가는 꿀벌을 되살리기 위해서 꿀벌 탐사도 하고 있다.“어? 장 박사님이 또 어디 가셨지?”미션4 어떤 매미의 소리일까?“이번에는 매미를 찾아볼까요?”지구사랑탐사대에서는 여름에 잠을 못자도록 시끄럽게 울어대는 매미도 찾아서 연구한다. 지금 나무에서 시끄럽게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지구사랑탐사대가 얼마 전 첫번째 생일을 맞았어요. 사람으로 치면 아기가 첫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셈이지요.그에 걸맞게 작년에 논과 밭 ... 맛보기에 참여해 보세요. 1기 탐사대원들이 참가하는 매미, 귀뚜라미 탐사 현장교육에 함께 참여해서 지구사랑탐사대의 매력을 흠뻑 느껴 보세요 ... ...
- 화려하면서도 수수한 이슬람에서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닮은 이 향로는 11~12세기 이란에서 청동과 터키석으로 만들었어요.나뭇잎 모양 장식물이슬람 미술품에는 꽃과 잎사귀, 식물 덩굴이 많이 그려져 있어요. 식물을 형상화한 무늬를 아라베스크라고 해요. 아라베스크는 문양을 반복해서 사용하고, 유기적으로 어우러지게 표현하지요. 나뭇잎을 닮은 이 ... ...
- 종이 나라의, ‘오려라 공주’와 ‘풀치래 왕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풀지 못하면 풀치래 왕자가 쳐들어온대요.”이번 문제가 가장 심각했다.“긴 종이가 한 장 있다. 풀칠을 한 번만 하고, 가위는 종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 번에 쭉 사용해서 서로 연결된 고리를 만들어 보아라!”종이 나라의 몰래카메라“썰렁홈즈! 역시 대단해요!”문제를 모두 맞힌 썰렁홈즈.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장은 겨울에 담가야 제맛김치의 대표는 역시 배추김치다. 배추를 다듬고 한 나절을 소금에 절인 뒤, 고춧가루와 파, 마늘, 생강, 젓갈을 넣은 양념으로 버무린 ... 보시려면?INTRO 김장, 글로벌하게 절이고 과학으로 버무리다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영업을 해온 최모씨가 법원으로부터 1년 6월의 실형을 선고 받았다. 진보네트워크 장여경 활동가는 “스마트폰 앱 도감청이 이미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법원이 인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Part 2. 메르켈 독일 총리는 어떻게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직류를 쓴다. 220V 교류 전원을 연결하지만, 전자 제품 안에 들어 있는 인버터라는 장치가 교류를 직류로 바꾼다. 즉 처음부터 직류를 공급받아도 아 무런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실제로 KT 같은 대형 통신사가 운영하는 인터넷센터에는 직류를 공급하고 있다. 이곳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인버터가 ...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형 탐사 광학위성 ‘랜드샛 7’이 지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촬영한 사진 65만 4000장을 모두 합성한뒤, 영상에서 숲에 해당하는 부분만 따로 골라 13년 동안의 면적 변화를 계산해, 그 결과를 11월 15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분석 결과 13년 동안 세계에서 한반도 면적의 10배가 넘는 230만km2의 숲이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한 굳이 글루텐, 그리고 밀가루를 피할 이유가 없습니다. 사실 국수 마니아로서 제가 가장 걱정하는 건 밀가루가 아니라 나트륨입니다. 면과 국물에 나트륨이 꽤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지요. 나트륨 섭취에는 조심을 하겠지만, 앞으로도 전 면식수행에 힘쓸 생각입니다. 밀가루를 사랑하는 모든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