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인 교수님과는 다른 연구를 위한 미팅에서 처음 만났어요. 그 자리에서 ‘엑소좀’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독성을 평가 해 보고 싶다는 아이디어를 냈는데, 인 교수님께서 관심을 보이셨죠.” 김 책임연구원은 연구의 시작을 이렇게 회상했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30~10 ... ...
- 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호킹, 페이스북 대표 마크 주커버그, 사업가 유리 밀너 등 세계적인 인물 세 사람이 한자리에 모였어요. 이 셋은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모양의 우주선으로 태양계를 벗어나 먼 우주를 탐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요. 연처럼 생긴 이 우주선으로 말이에요!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지금부터 함께 만나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과학동아가 개최하는 과학 강연 및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가 11월 12일 토요일 서울 용산 동아시아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열렸다. 이번 주제는 매년 10월 초 발표되는 노벨상 해설. 특히 올해 물리학상 수상 주제인 ‘2차원 물질의 상전이’라는 주제가 이해하기 어려워, 이를 쉽게 이해할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그렇다면 덴마크는 어떻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을까요? 덴마크는 가장 평화로운 나라 2위, 가장 투명한 나라 1위, 가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 1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또 무상 진료, 무상 교육을 위해 월 22만 원~100만 원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다른 두 쌍의 세제곱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찾기는 어렵다.그런데 라마누잔은 그 자리에서 1729=123+13=103+93, 즉 1729가 A=B3+C3=D3+E3라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라는 사실을 떠올린 것이다. 세상을 떠난 뒤 유명해진 라마누잔!하디와 라마누잔이 연구한 정수론은 현대 응용수학 분야에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도형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거울 13,571,955,000개를 설치하자 더 이상 새로운 거울을 둘 자리가 없었어요. 이렇게 만든 도형의 대칭을 따지자 무려 4,154,781,481,226,426,191,177,580,544,000,000가지나 됐어요. 정말 어마어마하죠?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의 수학자 봅 그리스가 이보다 더 큰 도형이 있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호주연방과학원에 70명의 과학자가 모였다. 각국에서 내로라하는 과학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마스2020’ 탐사 프로젝트에 관해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였다. NASA는 2020년에 새로운 로버를 태운 무인 우주선을 발사해 유인 탐사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마스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고를 하는 것도 지능을 발달시키는 데 한몫했다. 이 모든 활동의 근원에 외로움이 자리하고 있을 수 있다.외로움 이기려면 SNS 밖에서 만나라요즘은 SNS와 인터넷의 발달로 굳이 직접 만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요즘 어떻게 지내는지, 무엇을 먹고 사는지, 어디를 여행하고 있는지 일거수일투족을 ... ...
- [수학동아클리닉] 별이 숨어있는 도형, 스타돔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건축물 판테온에서 볼 수 있듯이 돔형 건축물은 고대 로마 시대에 이미 건축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돔 구조는 둥근 지붕 전체에 힘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때문에 기둥이 없어도 돼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그래서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는 ‘플라네타륨’이나 운동 경기장을 지을 때 많이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모여 분자기계를 논하다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만드는 데 성공한 이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인 역사적인 날이 있었다. 2007년 11월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솔베이 콘퍼런스’에서였다. 물리학과 화학계의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로 1911년부터 3년마다 열린다. 소바주 교수가 의장을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