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자"(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아 눈 발달에 일광욕은 필수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임신 기간 중 태아가 햇볕을 쬐지 못하면 선천적으로 녹내장을 안고 태어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리처드 랭 미국 신시내티 아동의료센터 안과학과 박사팀은 쥐 ...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1월 16일자에 실렸다 ...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박사는 708번 마이크로RNA(miR-708)가 암세포의 전이과정을 조절한다고 ‘캔서 셀’ 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는 작은 RNA 조각이며 몸 안에서 유전자 기능을 조절하고 있다.암세포는 처음 생겼을 때는 이동능력이 거의 없어서 제자리에서만 증식을 반복하지만,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일부 ... ...
- 호주, 고립되지 않은 대륙?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류 역사에서 격리된 지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1월 14일자에 실렸다.연구진은 호주 원주민들과 파푸아 뉴기니, 동남아시아, 인도인 등을 포함한 344명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호주 북부 지방 원주민 중 11%가 약 4000년 전에 인도에서 호주로 들어온 이주민의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비늘은 자연스럽게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나선형으로 자라게 된다. 만약 비늘이 일자로 곧게 생기면 뱀이 비늘을 빠져나오기 힘들어 군데군데 구멍을 내야 한다. 하지만 나선형인 덕분에 한꺼번에 몸을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그런데 더 놀라운 사실은 뱀의 비늘에서 볼 수 있는 나선이 그 ... ...
- 무중력이 만든 1cm 헬륨 결정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헬륨은 절대영도(0K, 영하 272.15℃)에서도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물질이다. 하지만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 환경에서 25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헬륨도 고체가 ... 실험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뉴 저널 오브 피직스’ 2012년 12월 13일자에 공개됐다 ... ...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아델레이드대 교수는 잠자리에도 선택적 주의 능력이 있다는 연구를 최신생물학 12월 2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렌즈 직경이 6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인 현미경을 이용해 잠자리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머리카락 굵기보다 1/1500배 만큼 가는 신경 가닥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신경이 잠자리가 ...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미국의 UCSF 연구진은 ‘부드러운 손길’의 비밀을 풀어 지난해 ‘네이처’ 12월 9일자에 발표했다. 유넝 잔 UCSF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교수와 동료이자 아내인 릴리 잔 교수는 초파리의 성장과정의 생리반응을 관찰하던 중 애벌레의 신경세포에 달려 있는 수상돌기 끝에 다량 붙어 있는 단백질 NOMPC를 ... ...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 폭풍은 때로 거대한 폭풍으로 발달하기도 한다. 이 연구는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12월 16일자에 실렸다. 북대서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중간 규모 폭풍은 태풍이나 허리케인보다 약간 작은 규모인 직경이 약 500km이며 24~36시간 동안 지속된다. 1년에 수백 차례 이상 발생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 ...
- 수중동물에 다리 생긴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3억 9500만 년 전 고생대 데본기에는 진화 역사상 전례 없는 사건이 벌어졌다. 물에 살던 동물이 지느러미 대신 4개의 다리로 육상에 진출한 것이다. 흐물흐물한 지느러미가 견고 ... 있다”고 덧붙였다.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셀’의 자매지 ‘디벨럽멘탈 셀’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 수명 결정하는 텔로미어, 자연계에서 첫 확인과학동아 l2012년 12호
- 320마리를 관찰해 텔로미어가 수명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분자 생태학’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실제 자연환경에 사는 동물로 텔로미어의 작용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리처드슨 교수가 텔로미어 길이와 생체 수명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기 위해 커즌 섬에 사는 세이셜 휘파람새를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