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속
연쇄
일련
속발
퍼짐
릴레이
릴렐
d라이브러리
"
연속
"(으)로 총 1,66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대륙횡단열차에 몸을 실은 것은 한여름밤 01시 15분이었다. 대륙의 서쪽에서 동쪽으로의
연속
적 자연경관의 변화는 어느새 바이칼호를 경계로 크게 달라지며, 거기로부터 이틀을 더 달려 낯익은 동북아시아 자연 경관의 품으로 들어섰다. 중국 동북지방땅이 시작되는 대흥안령(大興安嶺)산맥을 넘어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살펴보자. 태아의 발달은 독자적인 세포, 즉 수정된 알에서 완전한 유기물로 가는 사건의
연속
이다. 자연은 그러한 과정에 대해 많은 예를 제공하고 있다. 가장 단순한 예가 박테리아의 발달이다. 포유류 동물과 같은 고등 유기물의 발달은 1${0}^{12}$ 세포보다 많이 포함된 기관과 세포들의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된다. 달은 1시간에 약 14.6°정도씩 이동하므로 촬영가능시각은 (표2)와 같다. 한 필름에
연속
적인 변화를 전부 촬영해야하므로 다중노출이 되는 셈인데 보통카메라는 다중노출장치가 없거나 있다하더라도 촬영 도중에 카메라를 건드리면 방향이 틀려지기 쉬우므로, B셔터에 릴리즈를 사용해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곧 벗겨지고 변하는 것이 큰 문제였다.그후 실험을 수도 없이 반복했으나 실패의
연속
이었다. 온 방안에 놓인 조립식 벽돌금형과 화공약품으로 인해 발디딜 틈이 없었다. 급기야는 온 집안 구석구석까지 넘쳐나자 다섯살짜리 아들은 그를 '벽돌아빠'라고 부르기도 했다.그러던 어느 말, 계속된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Wilson)이 발견한 우주배경복사를 들 수 있다. 이는 초기 우주를 한때 지배했고 지금은
연속
적인 우주의 팽창으로 절대온도 3도까지 식어버린 뜨거운 흑체복사의 잔유물, 즉 찌꺼기를 말한다. 두번째 대폭발 이후 약 1천초인 우주 초기 수소에서 만들어진 헬륨량을 계산해보는 것이다. 약 25%에 해당하는 ... ...
여성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분류법을 사용해 오고 있다. 그녀는 아주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곤 스펙트럼들이
연속
된 열로 배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연구 결과는 '헨리 드레이퍼 카탈로그'의 토대가 되었는데 이 목록은 후에 9,10등급 이상되는 22만5천3백여개 별들의 스펙트럼 분류체계를 포함하기에 이르렀다.19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관측시기도 길고 시직경도 커서(25~40초) 4㎝급 이상이면 그 모양과 크기변화를 충분히
연속
관측할 수 있다. 기록은 표면에 무늬가 없기 때문에 그 크기와 모양만 하게 되는데 가능하다면 눈금이 있는 접안경을 사용하면 크기를 측정하기 쉽다. 동일 광학계로 촬영한 사진은 필름상에서 크기를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하며 유성의 속도 및 지속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카메라 렌즈앞을 회전날개의 회전으로
연속
개폐(약20회/초)시켜두면 유성이 점선으로 표현된다. 그 점선의 길이와 끊어진 개수는 유성의 속도와 지속시간을 알려 준다. 카메라 1대로서는 전하늘을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광각렌즈를 사용하거나 여러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안에서도 글자 모양에 일관성이 없다. 이것은 이전에 글자의 원도를 그릴 때 한 사람이
연속
하여 그린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오랜 기간에 걸쳐 그때 그때 만들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컴퓨터의 도움으로 제작 기간을 단축하여 이런 부분들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행정적인 측면에서 가장 필요한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운반돼 지층으로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현재 지질학의 상식이 된 기본이론이다.즉
연속
적으로 놓인 지층들(이를 정합관계의 지층이라고 한다) 사이에는 그 지층들의 두께가 대표하는 시간보다 훨씬 긴 시간의 무퇴적(퇴적이 일어나지 않는) 기간이 함몰돼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