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뜻을 펼칠 수 있게 많은 도움을 줬다. 김 교수 역시 대학원에 진학할 때 강 교수의
연구실
을 지원해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 그녀에게 강 교수는 늘 모범으로 삼는 ‘큰 스승’으로 남아있다.1986년 미국 로체스터대로 유학한 김 교수는 본격적으로 입자물리학자의 길을 걷게 된다. 당시 가장 큰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000년 부임하고 2~3년 동안은 학생들의 사고방식을 바꾸느라 고생했다고.현재
연구실
에는 박사후과정 3명, 박사과정 9명, 석사과정 6명이 연구하고 있다. 송교수는 학생들의 번득이는 아이디어에 감탄하기도 하고 어떨 때는 시야가 넓지 못한 것에 약간 실망하기도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은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한다 세계적으로 뱀 연구로 유명한 브라질의 연구소 1901년 상파울루 교외 9km 지점에
연구실
과 박물관 · 부속병원이 300ha의 넓은 대지에 건설되었다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분광측정이라고도 한다빛의 복사에너지의 상대량을 파장의 함수로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초빙교수2000년∼현재 생물공정연구센터 소장2000년∼현재 과학기술부 대사공학 국가지정
연구실
2001년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2002년∼현재 세계경제포럼 아시아차세대리더2002년∼현재 생물정보연구센터 소장2004년∼현재 호주 퀸스랜드대학교 명예교수한국과학기술원의 젊은 교수1964년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일하는 칠레 출신 해양생물학자였다! 그리고 조금 전에 지나쳐온 자그마한 집들이 모두
연구실
이었던 것! 우리나라 연구소처럼 여러 층의 커다란 건물을 상상했던 게 낭패였다. 과학자들 모두 여름휴가 온 듯한 옷차림에 샌들을 신었다. 긴 여정 탓에 정장차림으로 오지 못해서 걱정했던 게 우스울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말할 정도로 그들의 사이는 각별했다. 두 사람은 나무 사이로 나있는 귀가길이나 괴델의
연구실
에서 긴시간 동안 철학, 물리학, 정치 등 폭넓은 주제를 얘기했다. 그 중에는 연구에 관한 것들도 있었지만 각자 입장이 서로 달랐다. 그러나 둘 사이에 토론은 계속됐다고 한다. 다른 견해를 지니긴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만한 행사들 가운데 하나다.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교육적 효과와 더불어
연구실
의 명성을 널리 알리는 이중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영국과 아일랜드 역시 다양한 행사가 예정돼 있다. 영국 물리학회도 2005년 물리의 해를 아인슈타인의 해로 선포했다. 영국 물리학회는 올 한해 그의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
'-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남아 있다고 해요.“지하철에 사람이 많고 시끄럽다고 하는데, 사실 집중만 하면 좋은
연구실
이 될 수 있어요. 자리에 앉게 되면 책도 읽고 다음날 강의 준비도 하고, 때론 논문을 쓰기도 하지요.”임지순 박사의 강의를 듣는 학생들은 그를 천재라고 해요. 하지만 그런 말 뒤에는 집중과 노력이라는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식물에 대한 연구도 함께 하고 있었다. 지구가 폭발하면서
연구실
에서 실험을 하고 있었던 하나는 새로운 식물로 변해버린 것이다.하나는 물을 먹지 않았다. 벼리가 물을 나눠 주려 하자 질겁하는 것이다. 새로운 식물로 태어난 하나는 물 없이 살 수 있었다. 아니, 물에 닿으면 ... ...
하늘을 감동시킨 과학자 황우석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어린 학생들에게 과학의 소중함을 알리는 것이 더 소중하다고 말씀하신답니다. 가끔씩
연구실
을 불쑥 찾아오는 어린 학생들을 마다 않고 직접 만나 생명과학자로서의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해주는것도 다 그런 이유 때문이죠. 교수님 자신이 어린시절 '모든 사람이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