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언뜻 바나나 과육처럼도 보이는데요.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배운 대로 ‘휘휘’ 손으로 바람을 일으켜 두리안의 향을 맡아 봤습니다. ‘음~’ 첫 느낌을 좌우하는 강렬한 탑 노트는 방귀 냄새입니다. 맨 아래 기본향이 되는 베이스 노트는 달착지근한 과일향이고요, 기본향 위에 향의 인상을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하다는 성질이 있어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수 있는 매체로 손꼽힌다(2017년 1월호 참고).이제 응집물질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양자물질을 예측하고 찾는 ‘헌터’가 돼서 재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한 발이라도 먼저 새로운 양자물질을 찾기 위해 입자물리학과 끈 이론 등 경계를 ...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각 감도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말한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 자기만의 감도를 찾아 똥손을 벗어나 보자. 너는 총을 쏘거라, 나는 계산을 할테니오버워치에는 군인, 닌자, 프로게이머, 유전자 조작 고릴라 등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사용하는 무기도 제각각인데, 총을 쏘는가 하면 거대한 망치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두근두근 비밀 편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실제 위치와 눈에 보이는 위치가 서로 달라져요. 그래서 눈에 보이는 대로 물고기에게 손을 뻗어도 물고기는 그 자리에 없기 때문에 잡히지 않는답니다.●실험 방법 하나. 붉은 양배추로 비밀 편지 만들기●실험 방법 둘. 물에 넣으면 나타나는 편지!● 매질 : 파동을 전달하는 물질 또는 빛이 ... ...
- [과학뉴스] 왼손잡이, 척수가 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비대칭이 발생해 주로 쓰는 손이 결정된다고 분석했다.옥렌버그 교수는 “오른손·왼손잡이가 뇌의 비대칭에 의해 생긴다는 기존의 생각을 바꿔야 한다”며 “좌뇌와 우뇌의 비대칭이 언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주를 여러 번 반복하게 했다. 분석 결과, 전문 연주자는 소리에 아주 밀접한 손가락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턱이나 박자를 세는 다리의 움직임까지도 매우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었다. 송 박사는 “실제 연주와는 별로 상관 없어 보이는 움직임도 반복된 훈련의 결과”라며 “실제로는 좋은 연주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누가 먼저 탑승해 볼까요?”도슨트 선생님의 질문에 기자단 친구들이 앞 다투어 손을 들었어요. 그런데 막상 로봇에 올라타자 로봇이 앞으로 걸어나가며 장애물에 부딪힐까 봐 걱정이 앞섰어요. 하지만 로봇의 양 팔 앞쪽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가 있어 가까운 곳에 장애물이 있으면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데이비드 삼손 박사(오른쪽 아래). 그렇다면 만데나 사람들의 꿀잠 비법은 무엇일까. 삼손 박사는 “규칙적인 패턴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잠을 적게 자도 피곤하지 않은 것”이라며 “규칙적인 시간에 자고, 식사하고, 활동해서 건강한 생체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통계청이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치워 주는 것이 ‘매너 있다’는 소리를 듣는 사회가 아니지 않냔 말이다. 내가 용의 자손입네 하고 정체를 밝히고 본격적으로 그 원리를 연구하지 않는다면, 땅꾼을 직업으로 삼는다면 모를까, 무의미한 재능이었다. 어릴 때, 수족관에 들어 섰을 때, 어항 속에 들어 있는 거북이들이 일제히 내 쪽을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치료학자들은 음악을 특별히 조직해 뇌 손상 환자들의 운동신경회로를 재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더 읽을거리정현주, ‘인간행동과 음악’올리버 색스 ‘뮤지코필리아’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정서 보듬는 음악의 세계’(2008.9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