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충 잡는 별별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콩돌 스페이스 로보틱스 CTO)“인공위성으로도 해충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Q 자기 소개를 부탁드려요!콩돌 스페이스 로보틱스(KSR)의 기술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석이라 합니다. 저희는 우주에서 쓰이는 로봇을 만드는 것이 목표예요. 우선 첫 계획으로 병충해를 탐지하는 인공위성을 만들고 ... ...
- [과학뉴스] 나뭇가지로 로봇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재료에 큰 제약 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로봇을 설계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소개했어요.하지만 연구팀은 “이러한 로봇은 특정한 상황에서는 유용하지만, 기존 로봇보다 성능이 높지 않고, 만들 때마다 로봇에게 움직이는 방법을 처음부터 별도로 가르쳐야 하는 과정이 다소 번거로운 ... ...
- [실전!반려동물] 장마철, 멍이와 냥이의 피부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함께 찾아온 장마, 털로 덮인 반려동물에겐 힘든 계절이죠. 사연을 하나 소개할게요.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상담소 소장님! 저는 강아지 ‘멍이’와 고양이 ‘냥이’를 함께 키우고 있어요. 멍이와 냥이가 요즘 기운이 없고, 예민해져서 더위 때문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계속 뒷발로 한 곳만 긁는 게 ... ...
-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뽕뽕 뚫려있더라고. 바위를 갈라보니 그 안엔 벌레같이 생긴 하얀 친구가 있었어.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친구들! 난 민물조개 ‘리토레도 아바타니카 (Lithoredo abatanica)’라고 해(사진➊). 우리는 2006년, 필리핀 보홀섬 아바탄 강에서 처음 발견됐어. 지난 6월 19일,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루벤 ... ...
- [출동!기자단] 수중 동물 친구들을 만나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달리 촉수에 독이 있어 위험한 반전 생물”이라고 설명했지요. 이어 전기뱀장어도 소개해주었답니다. 턱 아래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뱀장어는 앞이 잘 보이지 않아도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전기를 감지해 주변을 탐색할 수 있어요. 최대 850V의 강한 전압으로 먹잇감을 기절시킨 뒤 ... ...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과거의 환경과 옛사람들의 식생활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박물관이랍니다. 필자소개고은별(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고고학을 공부했다. 시흥 오이도 유적, 구리 아차산 4보루 유적, 연천 무등리 유적 등 중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안다니…. 너무 놀라워서 어찌 된 일인지 꿀벌에게 직접 물어봤단다. Q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난 꿀벌이야. 흔히 재래꿀벌과 양봉꿀벌을 합쳐 꿀벌이라 부르지. 색으로 우릴 구분할 수 있는데 노란색 배에 갈색 가로띠가 있으면 양봉꿀벌, 검정색 배에 흰 줄이 있으면 재래꿀벌이란다. 가장 높은 ... ...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개발자와 디자이너로부터 ‘AR 이모지’ 기술에 대해 들어 봤어요!Q AR 이모지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려요!어떻게 하면 더 재미있는 이모지를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다, 내 모습을 이모지로 만들어보기로 했어요. AR 이모지는 내 모습이나 원하는 캐릭터를 이모지로 만들어 대화에 쓰거나 증강 현실로 ... ...
- [과학뉴스] 사진 한 장으로 동영상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팀은 모나리자가 실존 인물처럼 다양한 표정을 지으며인터뷰하는 동영상을 만들어 소개했어요.기존의 딥페이크 기법은 3D 모델링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단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얼굴의 윤곽을 잡아내 동영상을 만들 수 있지요.이 기술은 온라인 게임, SF영화 등에 활용될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정도로 많은 가짓수에 놀란 학생들에게 오일러는 좀 더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중간 합을 구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맨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경로를 찾는 방법이다. 트리의 세 번째 줄부터 시작해보자. 2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는 8 또는 5다. 이때 5보다 8이 더 크므로 2→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