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토록 갈망한 과학조선의 완결판이다. 김근배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과학사 및과학철학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016/S0140-6736(14)61728-1, doi: 10.2147/IJWH.S75635이들은 여성에게 ‘커리어 해방’을 가져다줄까? 서울마리아병원 가임력보존센터의 광고 카피는 “사랑도 보존이 되나요?”다. 난자 냉동은 항암치료를 앞둔 환자는 물론 사회적인 이유로 출산을 미루는 여성에게 아이를 언제 낳을지 결정하는 선택권을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조를 비교해 참가팀간 상대적으로 점수를 매긴다. 이번 대회 심사위원을 맡은 석차옥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알파폴드는 템플릿 기반 구조 예측 분야에서는 근소한 차로 정상에 올랐고, 템플릿 프리 구조 예측 분야에서는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고 말했다.템플릿은 이미 알려져 있는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외부의 악의적 공격이나 내부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자율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서울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무인열차의 취약점을 보완할 해결책도 제시했다. 관제센터에서 전달된 명령과 해커가 보낸 명령을 구분하는 것이다.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첫 번째 보물 I 대자연삼백 개의 봉우리로 감싼 카오쌈 러이욧 국립공원 “이제 그만 내려가면 안 돼요?”잠시 쉬는 사이 여기저기서 지친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프라야 나콘 동굴로 가는 길, 2019 태국탐사대원들은 본격적인 일정의 첫 시작부터 만만치 않다는 걸 깨달았다. 보트를 타고 비단 같은 ... ...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람들도 올림픽의 부작용을 줄일 방법을 다양하게 고민하고 있군요.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지역 축제에서 환경을 위해 하는 노력들을 배워보는 건 어떨까요? 환경을 생각한 디즈니월드의 불꽃! 축제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불꽃놀이는 상당한 대기오염을 일으켜요. 매년 열리는 인도 디왈리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국가적 필요를 동시에 충족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문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연구원으로 있다. 심해퇴적물의 기원지 및 고환경 연구와 더불어, 해저열수광상과 망간단괴 등 심해저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사물질에 ...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연 훼손부터 어마어마한 쓰레기까지 올림픽은 그야말로 환경에게 재앙이네요! 엇, 그런데 환경을 보호하려 노력한 올림픽도 있다고요? 경기장과 환경, 두 마리 토끼 잡기!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올림픽은 환경을 생각한 최초의 올림픽으로 꼽혀요.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 ... ...
- Part 4. 계주처럼 여럿이 함께 개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환경을 먼저 생각한 올림픽도 꽤 있네요. 그런데 올림픽을 열 때마다 경기장을 건설할 수도 없고, 미래에도 올림픽이 잘 개최될 수 있을까요? 1국가, 1도시 원칙이 사라지다! 올해 6월 결정되는 2026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스웨덴의 스톡홀름과 이탈리아의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두 나라가 경쟁 ... ...
-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유전자는 다른 종의 발성을 배우고 따라 하는 발성학습 능력과 관계가 있어. 지난 2014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김희발 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조류들의 유전자 8000여 개를 분석한 결과지. 일리 : 아, 이제 너의 이상형을 말해줘~. 사랑앵무 : 난 똑똑한 수컷이 좋아. 지난 1월 10일,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