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람들도 올림픽의 부작용을 줄일 방법을 다양하게 고민하고 있군요.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지역 축제에서 환경을 위해 하는 노력들을 배워보는 건 어떨까요? 환경을 생각한 디즈니월드의 불꽃! 축제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불꽃놀이는 상당한 대기오염을 일으켜요. 매년 열리는 인도 디왈리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식물의 이름을 표준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일률적으로 서울말을 따라 표준화한 것이 아니라, 각 식물이 서식하던 지역을 기준으로 표준 이름을 정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큰쥐방울’ ‘긴쥐방울’ ‘등칡’ ‘칡향’ ‘통초’ 등으로 지역마다 다르게 불리던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작은 입자를 내보낼 수 있는 탐침 시스템을 만들어 물체를 쌓는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에서는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로 복잡한 구조물을 잘 만들 수 있지만 나노미터 수준에서는 만화캐릭터 수준의 복잡한 구조물을 프린팅하기가 매우 까다롭다”고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018년 12월, SNS와 유튜브에서 ‘서울대 파티 영상’, ‘수학 인싸들이 노는 법’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화제가 됐다. 무대에서 공연 중인 댄서, 춤추는 관객, 화려한 조명 등 언뜻 보면 평범한 파티 영상같지만, 자세히 보면 특이한 점이 눈에 띈다. 무대 위 큰 전광판에는 코사인 그래프와 원주율, ...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올림픽이 끝난 후, 제 고향인 가리왕산은 흉물처럼 방치돼 있네요. 소문을 종합해 보니 경기장을 짓기 전의 모습으로 되돌리겠다고 약속했다던데, 그 약속이 지켜질까요? 500년 산림에 활강경기장이 건설되다! 가리왕산은 수목이 울창하고, 희귀식물이 잘 보존돼 ‘천년의 숲’이라 불려왔어요.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의심 없이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한반도 공룡의 생활사를 연구하는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좋은 시도인 것은 맞지만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무수한 예측값들이 들어간 만큼 이번 연구도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016/S0140-6736(14)61728-1, doi: 10.2147/IJWH.S75635이들은 여성에게 ‘커리어 해방’을 가져다줄까? 서울마리아병원 가임력보존센터의 광고 카피는 “사랑도 보존이 되나요?”다. 난자 냉동은 항암치료를 앞둔 환자는 물론 사회적인 이유로 출산을 미루는 여성에게 아이를 언제 낳을지 결정하는 선택권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국가적 필요를 동시에 충족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문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연구원으로 있다. 심해퇴적물의 기원지 및 고환경 연구와 더불어, 해저열수광상과 망간단괴 등 심해저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사물질에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외부의 악의적 공격이나 내부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자율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서울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무인열차의 취약점을 보완할 해결책도 제시했다. 관제센터에서 전달된 명령과 해커가 보낸 명령을 구분하는 것이다.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관측을 보완하는 저주파수 VLBI 관측으로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천문대와 함께 2020년부터 자체 전파망원경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