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스포츠의 꽃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움직이는 거야. 완성된 동작을 3초 넘게 유지해야 해서 힘과 균형 감각이 필요해. 오른
발
을 뒤로 들고 두 팔을 벌리며 하늘을 바라보는 김연아 선수의 스파이럴은 단연 세계 최고야. 특히 이 자세에서 머리를 드는 게 힘들다는 데 김연아 선수는 미소까지 짓지. 피겨스케이팅에는 가 없다➊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줄기세포 임상시험 참여도 방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
발
하고 있는 국내 바이오벤처 에프씨비파미셀은 현재 10건이 넘는 줄기세포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보통 1상이나 1/2상은 10여 명 내외, 3상이나 2/3상은 50명 내외다. 이 회사 홈페이지(www.fcbpharmicell.com)에 들어가면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서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국내 연구원들은 해외 학외에서 인정받지 못해 구두
발
표조차 하기 어려웠는데, 지금은 들어오는 강연 요청 중에 좋은 기회를 골라서 참여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다. 그럼에도 연구실은 여전히 새로운 도전을 멈추지 않는다.“우리 연구실은 분자를 넘어 초분자 재료를 ... ...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생활 속에서 황금비로 이뤄진 것을 무수히 찾을 수 있다. 세심한 관찰을 통해 황금비를
발
견해 보자~.상징하는 도형별 모양의 도형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상징물로 쓰였다. 지금도 여러나라의 국기에서 별 모양의 문양을 찾아볼 수 있다. 모양 또한 뾰족한 부분이 5개에서부터 많게는 12개까지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조절할 수 있는 2번이 가장 유리하다. 4번은 거리에서 손해를 보기 때문에 불리하다. 출
발
위치는 첫 경기 때만 추첨으로 정하고, 그 뒤론 기록이 빠른 순으로 1번부터 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교과서가 달라졌어요 수학 친밀도 테스트 너를 보여 줘~!새 교과서, 이렇게 달라졌다 새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뒤로 누운 채 다리부터 내려가기 때문에 도움닫기가 없다. 따라서 다른 썰매들과 출
발
장소가 다르다. 얼음 바닥을 양손으로 쳐서 속력을 높인다. 머리나 어깨의 무게중심을 변화시켜 방향을 튼다.탄소 소재로 제작된 루지에는 핸들이나 조종대가 없고 선수는 가죽 고삐를 당기고 다리로 누르면서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연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종이 섬유의 결을 가로와 세로가 얽히게 만드는 ‘외
발
뜨기’라는 우리 고유의 제지 방식과 두 장의 종이를 붙여 한 장의 종이로 만드는 합지 방식도 한지의 강도를 높이는 이유 중 하나다. 합지 방식으로 만들어진 종이를 음양지(陰陽紙)라 부른다. 또한 한지는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요소는 또 있다. 아이스링크의 실내 온도다. 선수들이 순
발
력과 근력, 심폐기능을 제대로
발
휘하려면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것을 피해야 한다는 것.빙상 관계자들은 선수들이 경기하는 데 적당한 실내 온도를 15~18℃ 안팎으로 보고 있다. 두터운 털옷을 입고 들어가야 하는 국내 실내 링크와 달리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관계자들을 보면 ‘휴보3’는 어떤 모습으로 태어날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일본에서 개
발
한 ‘아시모’보다 더 빨리, 더 안정적으로 뛸 수 있을까. 어쩌면 휴보3는 바퀴를 달고 오토바이처럼 달릴지도 모르겠다. 휴보센터에서는 이미 바퀴 달린 로봇도 만들고 있다.큰그림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5년에 가까운 연구개
발
이 드디어 빛을 본 것이다.이런 노력을 들여 로봇을 꼭 두
발
로 걷고 달리게 할 필요가 있는 걸까. 여기에 대해선 일부 전문가들조차 회의적이다. 로봇이 꼭 인간형이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영화에서처럼 로봇이 사람의 생활 속에 들어와 함께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