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d라이브러리
"
바퀴
"(으)로 총 1,52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어떤 자세가 기본자세인지 통 알 수 없다.긴 놈이 아무렇게나 구부러져 있으니…. 몇
바퀴
나 또아리를 틀고서도 꼬리와 머리를 맞대고 있는 뱀을 보고 있노라면 참으로 기이한 놈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발이 있어 걷는 것도 아니고 엉금엉금 기지도 못한다. 그냥 무언가가 끄는대로 끌리듯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지금까지 있어온 여러 논쟁들 '고속 전철은 과연 필요한가' '자기부상식인가
바퀴
식인가' '국산 고속전철은 불가능한가' 'TGV인가 신칸센인가 아니면 ICE 인가' 등도 국민의 관심을 끄는데 큰 몫을 담당했다.이제 남은 것은 독일(ICE) 일본(신칸센) 프랑스(TGV) 3국이 제출한 입찰제의서를 토대로 어떤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데이지휠 프린터는 단연 돋보였다. 데이지휠 프린터는 데이지꽃(국화와 비슷) 모양의
바퀴
살에 달린 활자들을 작은 망치가 전기충격으로 가격하여 그 활자와 종이사이에 끼인 먹끈으로 하여금 종이에 인쇄되도록 한 장치다. 그 속도는 셀렉트릭보다 두 배나 빨랐으며 글자가 찍힌 모양도 고르고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0(제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자력관이 원활하게 회전하려면 자력관과 자력관 사이에 톱니
바퀴
또는 베어링과 같은 작은 입자를 가정했다.맥스웰은 이 작은 입자가 전기를 띠고 있으며, 회전하는 자력관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때 일어나는 작은 입자의 이동을 전류라고 생각했다. 다시말하면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자동차를 타고 갈 경우에 느끼는 충격이 크게 다르다. 자동차가 훨씬 충격이 덜한 것은
바퀴
부분과 의자 스프링에 설치한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덕분이다. 충격이 적다는 것은 힘이 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건물에 이러한 장치를 부착하면 강한 지진이 발생해도 건물에 주는 영향은 크게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모여 떠들며 술을 마신다고 한다. 첨단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도 가끔씩은 옛날의 마차
바퀴
가 그리워지나 보다. 산타클라라에서 더 내려가면 산호세(San Jose)라는 멕시코 냄새가 물씬 풍기는 지명의 도시가 있다. 1982년의 한 조사에 의하면 전체적으로는 3천5백개 가량의 기업이 실리콘밸리내에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묘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주판에서 시작하여 톱니
바퀴
식 파스칼계산기를 거쳐서 결국 종착역에 도달한 컴퓨터는 인간의 두뇌구조에까지 왔다. 최근 들어서 인간두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다 대용량의 병렬처리기를 만들기 위해선 동물 가운데 생리기능이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크기만 하다. 대암점은 18.3시간에, 그리고 두번째의 작은 암점은 16.1시간에 해왕성을 한
바퀴
돈다. 흑띠의 대폭풍권 남반구에는 폭이 1만3천에서 6만6천㎞에 이르는 거대한 흑띠의 대폭풍권이 보인다. 이 바람은 일정한 방향으로 불지 않고 초속 수백m로 뒤섞여 돌고 있음이 알려졌다. 또 북쪽에서도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바람을 타고 수평으로 퍼져 나가는데 중위도와 저위도에서는 2~6주 정도면 지구를 한
바퀴
돌고, 1~4개월이면 그 위도대를 고르게 덮는다. 흔히 이같은 것을 먼지막(dust veil)이라 부른다. 그런데 각 반구의 위도 30°이상의 지역에서 유입된 화산재는 저위도로 퍼져 나가기가 어려운 편이나 저위도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힘들어진다. 오버가드와 오스트가드 씨는 만약 2천분의 1초보다 더 짧은시간에 한
바퀴
회전하는 중성자성을 찾을 수만 있다면 그 결과는 중성자성이 아닌 쿼크별일 것이라고 믿고 있다. 또한 호주 시드니 대학의 브라이언 맥커스커는 만일 쿼크별이 존재한다면 그 별의 쿼크들은 안정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