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됐다. 빵을 주식으로만이 아닌, 기호 음식으로도 즐기게 된 것이다. 이때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유럽으로 기술이 활발히 전파된 시기이기도 하다.◀ 로마 시대에 가장 번창했던 도시, 폼페이에 있었던 빵집과 화덕의 모습. 79년에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했을 때, 사람들과 함께 화산재에 파묻혀 본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 과학 기술 혁명이 가능했던 것은 반도체라는 마법의 돌 덕분이었다. 이 역시 석영으로 만든다. 반도체를 만드는 소재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석영에 들어 있는 규소가 대표적인 재료다. 규소는 자연 상태로는 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규소가 가장 많이 포함돼 있는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구성돼 있는데, 우리가 경험하고 학습하는 외부 환경에 따라 변한다(뇌가소성). 뇌가소성 덕분에 뇌가 재 프로그래밍되며, 우리는 새로운 것을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이때 뉴런 네트워크에는 ‘신경 연결 통로’가 생긴다. 특히 오랫동안 동일한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면 깊은 골짜기 같은 화학적,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맥주도 발달했다. 빵과 맥주를 만드는 효모 종이 같은 덕분이다.고대 이집트 빵굼터 유적에는 제빵과 양조의 흔적이 함께 남아 있다』 물론 인도의 난이나 그리스의 피타, 이탈리아 피자를 구울 때에도 화덕을 사용한다. 하지만 화덕 생김새가 비슷할 뿐, 굽는 방식이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어려울 정도로 현란한 비행 기술을 갖고 있어요. 바로 벌레의 날개 재질과 날갯짓 속도 덕분이지요. 벌레의 날개는 아주 얇은 막과 ●시맥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매우 가벼워요. 그래서 1초에 수백 번이 넘는 날갯짓을 할 수 있답니다.●시맥 : 벌레의 날개에서 볼 수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있는 맥.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빛이 어느 방향에 있는지 잘 살펴보고 찍어야 해!풍선 같은 얼굴은 카메라 렌즈 탓?은지 덕분에 이제 반죽 같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아도 되겠군! 자, 그럼 입체감 있게 한 번 찍어볼까~. (찰칵) 오잉? 입체감은 있는데 얼굴이 부푼 풍선처럼 나왔잖아! 어제 라면을 먹고 잔 것도 아닌데, 얼굴이 풍선처럼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제트엔진(항공기의 제트엔진과 구조는 같지만 전기모터를 쓴다)’ 36개를 날개에 달았다. 덕분에 수직이착륙이 가능해 활주로가 필요없다. 날아오른 뒤에는 엔진의 방향을 수평하게 바꿔 비행할 수 있어 같은 배터리를 썼을 때 드론형 플라잉카 보다 10배 멀리 날 수 있다. 또 날개가 크기 때문에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거품과 함께 차가운 커피를 들이 마시자, 커피 향이 입안을 가득 메웠다. 조밀한 거품 덕분인지 쓴 커피도 술술넘어갔다. 다른 커피와 질소 커피의 가장 큰 차이는 거품에 있다.맥주와 마찬가지로 커피의 거품 역시 질소가 잔에 부딪히면서 만들어진다. 신 팀장은 질소 거품을 만드는 스프레이 형태의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궁극적인 승리를 막으려고 온 거야. 네가 죽어가면서 마지막으로 남긴 기록 덕분에 임무를 완수할 수 있었지.”내가 남긴 기록? 노마는 흥분을 가라앉히고 기억을 더듬었다. 그는 고대 역사의 잠재적인 종말을 앞두고 자신이 죽는 시각과 장소를 마이크로웜홀의 링크 속에 남겨두었다. 유청은 그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이 추측의 따름정리격인 약한 해바라기 추측이 2016년 8월호에 소개한 새로운 도구 덕분에 풀렸습니다.서로 다른 집합 A1, A2, …, Ar에서 어느 두 집합에 속한 원소가 무조건 모든 집합에 다 속하면 이 집합들을 ‘해바라기’라고 합니다.집합 A1, A2, …, Ar 각각은 ‘해바라기의 꽃잎’이라고 하지요.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