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지
땅
지상
대지
육지대
토지
뭍
d라이브러리
"
대륙
"(으)로 총 1,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어쩌면 우리 성층권의 보호외투에 마지막이 오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아닐까? 남극
대륙
위의 오존층에 해마다 새롭게 점점 더 깊이 구멍이 뚫리고 있다.그에 관하여 우리는 아직 아무것도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오늘은 날씨가 어떨까?" 하고 아침에 하늘을 쳐다 보면 이전과 다름없이 일기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10}^{-18}$의 길이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는 민감한 검출기와 함께 약 10개의 막대가 4개
대륙
에서 중력파가 검출되기만 기다리고 있다. 웨버는 초전도 양자 간섭계를 측정기로 썼으나 최근에는 3개의 분리된 거울과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보통 수십m 떨어진 상태에서 ... ...
중공 양자강에 1300만㎾의 발전소 건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중국
대륙
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 지르는 양자강은 전장 6천3백㎞ 이상으로 세계에서 네번째로 긴 대하. 이 양자강의 중류 사천성에서 호북성에 걸친 구역은 세개의 협곡이 계속되고 있어 '삼협'(三峡·산시아)이라 불리며 명승지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 이 삼협에 양자강을 막아 ... ...
기암의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맥드널 레인지'를 비롯한 몇개의 암석산맥에는 깊은 균열이 무수하게 많아 이
대륙
을 비틀어 굽히고 산을 만들고 계곡을 판 거대한 어떤 에너지가 분명히 있었음을 보여준다.오스트레일리아는 '시간이 멈춘
대륙
'이라 알려져왔다. 실제 2억년전 까지는 대지를 비롯한 자연환경이 심하게 혼란되지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더욱 적설량이 클 것으로 추측된다.이처럼 울릉도에 눈이 많이 내리는 것은
대륙
으로부터의 찬공기가 이곳에 이르러 따뜻하고 습한 수증기를 공급받기 때문이며, 특히 성인봉에 부딪치는 바람에 나리분지일대가 다설지역이 된다. 3월 중순경까지도 도로위에 눈이 쌓여 통행이 불편한 곳이 울릉도다 ... ...
지구 한바퀴 도는데 3시간 타임머신같은 행성열차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전동차를 주행시키는께획이다이 행성열차의 출현에 따른 파급효과는 대단하다. 북미
대륙
전역이 하나의 통근권이 되어 종래의 비행기는 시세에 뒤진 수송수단으로 전락, 겨우 지역선 전문의 단거리 수송시스템에 이용되게 되고 오히려 에너지 절약형 철도나 수소연료 및 전기구동 자동차로 구성된 ... ...
킬리만자로(kilimanjaro)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분명히 찢겨 넓혀지고 이동을 하고있다는 것이다. 틀림없이 먼 장래에 동아프리카는
대륙
에서 떨어져 나가 인도양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킬리만자로는 아프리카 대지구대의 바로 위, 남쪽 변두리 가까이에 있다. 아프리카 대지구대는 북쪽에서 찢겨지기 시작, 남으로 점점 벌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 ...
미국의 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미국은 빙하와 협곡, 대삼림, 그리고 늪과 호수등 자연경관을 그대로 보존하여 후세에 남겨 주려고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야생으로의 회 ... 불과 2백년. 지금 원래의 자연은 2백 94개소의 보호구에 갇혀 있을 뿐이다. 그것은 이
대륙
의 원주민 인디언의 운명과도 닮아있다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인해 이런 의혹을 더욱 부추긴다. 그는 때때로 자신이 19세기에 미개한 아프리카
대륙
에 첫발을 디딘 선교사같은 기분이 든다고 털어놓는다. 미국 뢴트겐학지에 그의 원고가 실렸을 때도 '피글리'는 그가 어떤 진지한 비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말한다. "아무도 그의 성실과 진지함을 의심하진 ... ...
한반도의 기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유라시아
대륙
의 동단에 위치한 데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는
대륙
성기후와 함께 부분적으로 해양성기후도 보이고 있어 다양한 기후현상을 초래한다. 우리나라의 기후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으며, 예상되는 기후의 변화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