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와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직접 허락을 구해야 했어요. 그러던 200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렌스 레시그 교수는 저작권 소송 재판에 참여했다가 저작물을 더 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단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를 만들었어요. 또, 저작자가 저작물에 자유롭게 저작권을 표시하도록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 ...
- [가상 인터뷰] 딸랑딸랑~, 가까운 듯 멀리 떨어진 방울뱀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급증하자, 참가자들은 방울뱀이 더 가까이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어. 차그나우드 교수는 “포유류는 포식자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가오면서 커지는 소리에 민감하다”며 “방울뱀은 포유류의 이런 특징을 역이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단다 ... ...
- [과학 뉴스] 빙하기 매머드, 평생 지구 두 바퀴 돌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결국은 영양 부족으로 쓰러진 것입니다. 미국 페어뱅크스 알래스카대학교의 매튜 울러 교수팀이 재구성한 수컷 매머드의 일생입니다. 이들은 어떻게 매머드의 삶을 추적한 걸까요?연구팀은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던 매머드의 상아를 세로로 길게 쪼갰습니다. 매머드의 상아는 평생 꾸준히 자라는데, ... ...
- [기획] 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지난 7월 26일,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는 기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우리나라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이름을 올린 건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이후 무려 14년 만이죠.우리나라 갯벌은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을 포함해 다양한 생물이 살아 숨 쉬는 곳으로,전 ... ...
- [특집] 사람과 지구 모두를 멋있게! 친환경 패션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여러분, 환영합니다. 지구를 위한 패션 연구소장입니다. 우리 연구소에서는 지구를 지키는 패션에 관해 연구하고 있지요. 패션으로 어떻게 지구를 지키냐고요? 옷은 단순히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 자신을 표현하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죠. 어떻게 하면 사람과 지구 모 ... ...
- [특집] 세상에 없던 소재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쉽게 썩어 폐기하기 쉽다는 것도 장점이랍니다.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안동진 교수는 “동물의 가죽을 사용했던 이유는 튼튼하고 질긴 데다, 질감이나 광택 등이 예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최근에는 동물 가죽만큼 튼튼하고 예쁜 인조 가죽 기술이 등장하면서 천연 가죽을 사용할 ... ...
- [특집] 세탁연구소 지구를 위한 패션 끝판왕, 빨지 않고 사지 않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입는 ‘노세탁 챌린지’에 도전하고 있어요. ●인터뷰임은혁(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안동진(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임 패션은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산업이므로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에 반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빠르게 만들어 빠르게 소비하는 ‘패스트 패션’ ... ...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이때 고도가 높은 땅은 수천 개의 섬으로 바뀌며 복잡한 해안을 이뤘지요. 우 교수는 “서해는 수심이 얕고 해안 경사는 완만한데,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최대 6~9m까지 크게 나서 갯벌이 형성되기에 세계에서 손꼽힐 만큼 좋은 조건“이라고 하셨어요. ●인터뷰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찾아봤지만, 꿀벌이 만든 형태보다 우수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어요. 연구를 이끈 스미스 교수는 “다음 연구는 벌집의 강도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이어 “꿀벌의 건축기술을 이해한다면, 우리도 환경변화에 적응한 건축물을 짓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특집] 색채연구소 지구를 위한 색깔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염색하지 않아도 색을 낼 수 있을 것입니다”안동진(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Q미래에 염색의 오염 문제가 해결될까요?색깔은 꼭 염료를 사용해야만 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일부 나비의 날개나 공작 깃털은 색소 없이도 그 표면의 구조로 빛을 내는 ‘구조색’을 띱니다. 옷 표면에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