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분전일분화(一分錢一分貨). 한 푼으로는 한 푼 어치의 물건밖에 살 수 없다는 의미의 중국 성어다. ‘싼 게 비지떡’이라는 우리 속담과 유사하다. 오랜 시간 ‘ ... 2016년 9월 중국으로향했다.현재중국칭화대전자공학과교수및인공지능센터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소자연구를하고있다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학의 입장은 전혀 달랐다. 1990년대 이후 입학 정원을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공학 및 의약계열의 정원보다 인문, 사회계열의 정원을 늘리거나, 혹은 기존 정원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갔다. 그 결과 심각한 미스매치가 발생했다. 문제는 이런 미스매치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따라 해류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형 수조를 제작했다. 존 다비리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2m, 2m인 수조를 만들어 바닷물로 채웠다. 그리고 소금새우(Artemia salina)를 넣고 이들의 움직임을 조사했다. 새우에게 빛을 쪼여 움직이도록 자극한 뒤, 새우의 움직임에 따라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차량까지 왕복 2차선 도로는 각종 ‘장애물의 향연’이었다.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 ‘유레카(EUREKAR)-AI(아래 사진)’는 이런 상황이 익숙하다는 듯 여유롭게 캠퍼스를 누볐다. 도로변에 주차된 차를 발견하자 왼쪽으로 핸들을 틀더니 남아 있는 도로 폭에 맞춰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복원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과 배연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팀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몽골에서 소똥구리를 들여와 복원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어요. 몽골 소똥구리와 토종 소똥구리의 DNA를 분석한 결과, 유전적인 차이가 2% 미만으로 모두 같은 종인 것으로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걸까요? 또 만든 뒤에는 어떻게 설치해야 할까요? 이 답을 찾으려면 해양물리학, 토목공학, 생물학, 유체역학 같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쓰입니다. 수학도 빼 놓을 수 없고요. 그럼 바닷속에 어떤 수학이 잠겨 있는지 함께 들어가 볼까요? 인공어초는 어떻게 만들지?우리나라 최초의 어초는 1971년에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항상 이길 수 있는 전략은 아직 모릅니다. 2013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생이었던 에이탄 리프쉬츠와 데이비드 츄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슈퍼 틱택토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하는 사람이 이길 확률이 56%라는 사실을 밝혔어요. 먼저 하는 사람이 나중에 ... ...
- [과학뉴스]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숭숭 뚫린 스펀지는 어떻게 물을 빨아 들일까.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이 스펀지와 빵 같은 다공성 셀룰로오스 소재가 액체를 빨아들이는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혀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3월 3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이뤄진 섬유질로 식물 세포벽의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통신 메시지를 동형암호로 암호화시켜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해 2016년 12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행하는 보안 분야 학술지(IEEE Transactionson Information Forensics and Security)에 발표했다.doi:10.1109/TIFS.2016.2639340 기존 기술로는 1대 1로 통신하는 경우에만 보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제작에는 유독성 용매가 쓰인다. 방법이 없을까. 정대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유기 반도체를 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계면활성제로 독성 down 친환경 up유기 반도체의 장점은 저렴한 가격이다. 하지만 대표적인 유기 반도체인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