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것이었고, 아인슈타인은 이를 모른 채 이듬해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한 논문에서 같은
공식
을 유도했다.하지만 로렌츠와 아인슈타인에게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었다. 로렌츠는 에테르의 존재를 가정했기 때문에 당시 마이켈슨-몰리의 실험 결과를 설명할 수 없었고, 따라서 그는 계속 나타나는 문제를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망한지 50년이 되는 해이기도 했다. 이런 입장이 유엔에 전달됐고 지난 6월 유엔
공식
행사로 인정받았다.어떤 행사들이 열리나. 대표적인 행사 몇가지를 소개해달라우선 지구 둘레를 빛으로 감싸는‘물리학이 세계를 밝힌다’행사를 꼽을 수 있다.총 1만개의 참가조직이 정해진 시간에 서쪽을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0번째로 발견한 혜성이다. 이 혜성에는 맥홀쯔(Machholz)혜성이라는 이름과 함께 C/2004Q2라는
공식
부호가 붙게 되었다. 2004Q2는 2004년 8월 하순에 발견된 두번째 혜성이라는 뜻이다.크기면에서 볼 때 이 혜성은 일반적인 신혜성과 별 차이가 없는 평범한 혜성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혜성이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電荷)의 분포를 극이 네 개 있다 하여 4극자라 한다정적분(定積分)의 근사값을 구하는
공식
사다리꼴의 법칙이라고도 한다가지 달린 고분자의 한 형으로서, 두 사슬분자 사이에 규칙적으로 다리를 걸쳐 사다리모양 구조를 가진 중합체 천연물에는 이런 중합체가 거의 없으나 사문석 속의 섬유모양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시가 아인슈타인 70세 생일 기념으로 명예시민을 수여하겠다는 제의를 했을 때 그가 비
공식
적으로 거절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한 사람이 말년에 아인슈타인에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의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그건 모차르트 음악을 더 이상 들을 수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또 인류의 궁극적인 에너지인 핵융합 에너지도 아인슈타인의
공식
을 이용한 것이다. 핵융합 발전은 수소 원자 4개를 융합해 헬륨 원자 1개를 만들면서 이때 사라진 질량으로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얻는 것이다. 수소폭탄이 바로 핵융합을 이용한 핵폭탄이다.핵융합 발전은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실을 1968년 베네찌아노가 밝혔다. 그후 시카고대 남부 교수 등 다른 과학자들이 이
공식
을 끈의 진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증명했다. 즉 점 입자의 충돌을 점이 아닌 끈의 산란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것이 끈이론의 탄생이었다.당시 끈이론에는 큰 결함이 있었다. 끈의 진동 중 하나에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0월 20일 황 교수 연구팀은 잠정 중단했던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재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자 정부도 발 벗고 나섰다. 과학기술부가 최고과학자연구지원사업 명목으로 황 교수에게 총 265억원의 지원금을 내년 예산으로 책정한 것. 이 중 140억원으로는 서울대 수의대에 ‘황우석 ... ...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면 된다.“수학 문제를 한줄한줄 풀면서 엄격하게 증명된 원리를 이용하지 제멋대로
공식
을 만들 수는 없죠. 요즘 융통성이라는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편법이 난무합니까. 때론 수학의 엄격한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그러면서도 박 교수는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으려면 코끼리를 미분한 뒤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7년과 1908년에 플랑크는 노벨상 후보에 올랐는데, 이는 작용양자 때문이 아니라 그의 복사
공식
이 원자론에 기여했기 때문이었다.1906년 이후 드디어 그는 자신의 작용양자 개념이 기존의 고전물리학을 무너뜨릴 요소가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그런데 플랑크는 자신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