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암컷은 이 알구덩이를 지킨다. 알에서 새끼가 부화돼 나올 때 쯤이면 새끼의 먹이가 되는
곤충
이 최대로 번식하는 장마철이 된다. 어떤 악어는 알구덩이 대신 낙엽을 쌓아 알자리를 만든뒤 그 속에다 산란한다.새끼가 부화돼 나올 때까지 알자리를 떠나지 않는 지극한 모성애를 보이는 동물은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흥미를 잃게 함으로써 위기를 모면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을 의사(擬死)라고 한다. 또
곤충
중에서 바구미나 잎벌레 무리들은 바람만 세게 불어도 죽은 체 한다. (6) ③갈라파고스군도에는 많은 종류의 핀치가 살고 있는데 부리의 모양과 길이에 따라 15종으로 나누어진다.알다시피 핀치는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때문에 이를 '사이드와인딩'(side winding)이라고 한다.그들은 철저한 육식주의자다. 대개
곤충
이나 척추동물을 잡아 먹는다. 사냥법도 가지가지다. 입 안쪽으로 향한 이빨로 꼼짝 못하게 한 뒤 야금야금 먹기도 하고, 먹이를 몸으로 감아서 질식시키거나 독으로 죽인 다음 '냠냠'하기도 한다. 일단 입에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세포가 이종(異種)의 세포속에 들어가 마치 그 일부가 된 것처럼 보이는 공생으로부터
곤충
과 충매화의 관계처럼 문자 그대로 꽤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공생까지 그야말로 다양하다. 손자병법을 익힌 오도케우오공생관계를 나타내는 두 짝은 원래 우연히 맺어진 사이다. 자연계를 들여다 보면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어느정도 그대로 지속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증명됐다.식성은 잡식성으로 여러가지
곤충
작은 포유류 새 지렁이 달팽이 민달팽이 도마뱀 장지뱀 야생조류의 알 들쥐 잡초의 뿌리 과일 등을 좋아한다. 먹이가 없을 때에는 민가에 있는 양계장에 침입, 달걀을 훔쳐 먹는 경우도 있다. 동물원이나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요구된다. 낚시꾼의 미끼와 천적을 피해가며 가장 적은 에너지를 써서 목표로 하는
곤충
이나 갑각류를 잡아먹어야 하기 때문이다. 필요이상으로 에너지를 쓰면 영양실조에 걸려 죽게된다.배크만 박사는 양식장에서 기른 갈색 송어를 야생 갈색송어가 많이 사는 펜실베이니어의 어떤 강에 풀어놓고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유충은 7쌍의 아가미를 가지고 물속에서 생활한다. 이 유충은 어류 양서류 다른 수생
곤충
의 중요한 먹이가 되므로 성충이 되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4 ①체내에 발전기관을 지닌 물고기를 전기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전기뱀장어 전기메기 전기미꾸라지 전기가오리 등이 있다. 이들 무리는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한국자연보존협회, 1989년)에는 척추동물 1백18종 (조류 56종, 포유류 21종 포함),
곤충
24종, 식물 36종이 수록돼 있다.요컨대 인간의 행위로 말미암아 생물의 다양성이 크게 침해되고 있다. 만약 이대로 나간다면 생물종의 대량절멸이 일어나 인류에게도 치명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양하게, 가장 오래된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의 조상은 어디에 있는가.
곤충
의 화석도 고생대의 펜실베이니어기 지층에서 수백 종이 발견됐다. 그러나 그 아래 지층인 미시시피기나 데본기 지층에서는 그것보다 조금 앞선 생물이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또 중생대에 번성했던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번식력이 강하고 떼로 몰려다니는 까치는 잡식성으로 아무거나 잘먹는다. 나비를 포함한
곤충
들이 1차 피해대상이 되겠고 나무열매 등도 까치 등쌀에 몸살을 앓을 것이다. 또 새알도 안전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돼 천연기념물 제215호로 지정돼 보호중인 흑비둘기의 서식환경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