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속"(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최근 많은 연구 결과들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현재의 생명체와는 어느 정도 달랐을 것이라는, 즉 다른 염기쌍 시스템을 가졌을 것이라는 가설에 더욱 무게를 실 ... 저장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며 “앞으로 5쌍, 6쌍까지 염기쌍을 계속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종종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은으로 만든 풀을 대체할 재료를 찾는 등 연구를 계속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 뒤로 취재를 하는 내내 손가락을 까딱거렸다. 취재가 끝날 때까지 DIY 웨어러블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의료용 양면테이프를 붙인 덕분에 이물감도 크게 없었다. 전체 두께도 1mm에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화학자인 칼 빌헬름 셸레는 상한 우유의 신맛이 젖산의 생성 때문임을 발견했고, 계속된 실험을 통해 젖산 외에도 다양한 유기산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셸레는 실험 중 돋보기를 이용해 산화은(AgO)을 가열하면 특정한 기체가 생성되고, 이 기체를 모은 용기에 불타는 성냥을 넣으면 불길이 ...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6호
- 1312321231213231321312321323132123121323132131232라는 수열이 만들어집니다. 신기하게도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해 치환해도 숫자열이 연달아 반복되는 부분은 하나도 없습니다. 반복 없이 그래프 색칠하기 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바꿔 생각했습니다. 그중 하나는 문제를 그래프로 확장한 ... ...
- [전지적 수학 시점] 브롤스타즈, 선의 발로 총알 잘 튕기기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튕긴 후 상대방을 향하는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게임 중에 상대방과 내 위치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총을 쏠 지점을 찾기 어렵다는 겁니다. 수학을 이용해 정확히 계산해 볼까요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뇌의 신경연결망을 분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컴퓨터의 연산 속도가 계속 빨라지는 만큼 뇌의 신경연결망 지도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신경세포의 상호연관성과 기능의 발현 과정을 밝혀내는 게 불가능 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doi:10.1016/j.neuroimage.2018.12.015뇌의 작동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인공지능 기능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며 “고성능의 CPU와 GPU를 이용해 시스템의 성능을 계속 높여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 인간의 두뇌 구조를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는 차세대 지능형 시스템반도체로 각광받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연구자들이 새로운 재료, 소자, 설계를 연구하고 있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것이 그의 역할이다. 그는 “우주인으로서 우주 유영, 우주선 운용, 러시아어 훈련 등을 계속해나갈 것”이라며 “향후 인류가 다시 한 번 달에 갈 때 국제적으로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가 우주인으로서도 행정가로서도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이 뭘까. 그는 과거 비행에서 ... ...
- [영국유학일기] 쉬운 질문은 사절 매일 자습은 필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된다. 물론 수업 시간에 만나는 것이 전부이지만, 하루 3시간의 수업과 5시간의 실험을 계속 함께하다 보면, 따로 만나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서로 익숙해지게 된다. 임페리얼칼리지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교수와의 관계에서도 잘 나타난다. 교수에게 스스럼없이 이름이나 애칭을 부를 만큼 거리감 ...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가장 오래된 석탑입니다. 하지만 고려시대에 벼락을 맞아서 한 차례 크게 파손됐고, 이후 계속적으로 돌이 무너지자 1915년 한반도를 식민 지배하던 일본이 시멘트를 부어서 붕괴를 막았습니다.80년 이상 흉물스런 모습으로 남아 있던 미륵사지 석탑은 구조까지 불안정하다는 진단을 받고 2001년부터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