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바다쪽 판
경계
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판이 스며드는 과정이 진행됨과 함께 판
경계
는 대륙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후퇴하면서 대륙을 바다 쪽으로 이끈다.한편 맨틀 아랫쪽에 침투한 식은 판은 고온의 맨틀물질을 밀어내는데, 바로 이것이 고온 맨틀물질의 용승류(湧昇流)를 일으켜 열점(熱点)을 ... ...
(1) 생성 및 광채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진주는 아주 얇은 반투명한 탄산칼슘층들이 동심원상으로 중첩돼 있는데, 이들 각 층의
경계
에서 일어나는 빛의 간섭효과에 의해 오리엔트라 부르는 우아한 훈색을 띤다.이처럼 보석이 나타내는 광채효과는 다양하며 그 원인도 보석마다 모두 독특하다. 광물학자와 보석학자들은 이들 광채의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뚫어야 한다. 기층교란의 가장 파괴적인 형태는 각 기층의
경계
에서 발생한다. 기층의
경계
에서 발생하는 잔물결이나 파도들이 관측하는 천체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이다. 우리가 '시잉바블'이라 부르는 이러한 것들은 대체로 6에서 12인치의 지름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작은 망원경은 한번에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그 모습을 빛낸다. 잘 살펴보면 그 주위가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경계
에는 카르파티아 산맥이 마치 밀려오는 파도 모습을 하고 있다.전체적으로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지름 46km의 아리스타르쿠스 크레이터는 지구의 그늘에 들어가 있을 때도 보일 정도로 가장 밝은 빛을 낸다 ... ...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있다. 작은 금강산이란 뜻의 소금강은 비로봉 동쪽 기슭에 위치한다.경상북도와 강원도
경계
지점에는 태백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기점으로 소백산맥이 갈라져 내려온다. 소백산맥의 특징은 남서쪽으로 내려올수록 석봉 중심의 석산(石山)에서 풍화토로 이루어진 토산(土山)의 특징을 갖고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틈새로 분출된 용암의 줄이다.유명한 직선 절벽과 같이 바다의 수평면에 급격한 불연속
경계
선이 생기는 것은 단층의 결과로 생각된다. 가끔 침강된 구덩이의 선을 잇는 직선 열구는 단층이나 파쇄구조를 따라 발달하고 있다.얼핏 생각하면 만월에는 한꺼번에 월면의 모든 부분을 골고루 볼 수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인상을 받기에 충분하다.처녀자리은하단 중심부에서 한참 아래로 내려와 까마귀자리와
경계
를 이루는 곳에는 처녀자리에서 가장 훌륭한 은하가 자리잡고 있으니 그것이 M104다. 은하중심부를 양분시키는 암흑대의 현저한 모습 때문에 솜브렐로은하로 알려진 M104는 우리의 시선 방향에 자신의 옆면을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지만 매우 밝고 오래 지속되는 유성우다. 복사점은 거문고와 헤라클레스 자리의
경계
에 있다. 복사점이 매우 밝은 별인 베가(직녀별)의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유성우의 시발점을 찾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아마도 이 유성우틑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간은 지방시로 23시 이후가 될 것이다 ...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크기는 24.5×22.5㎜로 달갈의 절반쯤 된다. 연 1회 산란하며 포란 일수는 17〜20일, 이때
경계
심이 대단하다. 2시간 간격으로 교대해 포란하는데 수컷의 포란시간이 길다. 새끼는 2~3주 사이에 매일 13g씩 체중이 늘고 1개월이 되면 둥지를 떠나 독립한다. 어린 새끼도 수컷은 두상의 붉은 털이 눈부시고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장애가 있어서 쉽게 위치를 느끼고 확인할 수 있으나 모음은 장애를 받지 않아 소리의
경계
가 분명치 않고 조음점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분석하기가 더 어렵다. 모음은 혀의 높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의 세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혀의 높이는 턱과 혀가 열린 정도로 알 수 있는데, 열린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