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03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10
때문이다. 새학년 초에 반 학생 앞에서 본보기로 떠든 학생을 체벌하는 교사의 예를 들어
보자
. 이후 그 교사의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떠들지 않는다. 이것을 체벌의 효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강화에 해당한다. 학생들은 본보기 체벌을 통해 떠들면 체벌을 당한다는 규칙을 익혔다.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임무다.자, 그럼 현장에 침투한 명예기자들의 추적일지를 통해 하나 하나 단서를 추적해
보자
. 추적일지 # 1상어와 불가사리가 수상하다?먼저 우리는 신호음이 어디에서 시작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찾아보기로 했어.분석 결과 신호는 우리나라 남해와 동해, 심지어 멀리 일본 근처 바다에서까지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10
좌우가 아니라 앞뒤 대칭이다. 거울에 여러 가지 물체를 비춰 보면서 거울의 원리를 살펴
보자
. 아하! 생각이 쑥쑥! 거울로 보는 미술작품이 있다! 없다? 한스 홀바인 2세의 1532년 작품 ‘대사들’을 보면 두 명의 남자가 등장한다. 왼쪽 인물은 당시 영국으로 파견된 프랑스 대사인 장 드 댕트빌이고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09
일정하다. 이것을 화학평형의 법칙이라 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가역 반응을 살펴
보자
.aA+bB ⇄ cC+dD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농도의 지수로 취한 뒤 생성 물질의 농도 곱을 반응 물질의 농도 곱으로 나눠준 값은 주어진 온도에서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됐다. 이 값 K를 평형상수라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09
77일간의 탐험, 사람과 자연과 역사의 이야기로 차고 넘치는 갠지스강으로 떠나
보자
.신이 내린 강물과 함께 하다갠지스강은 힌두의 정신을 담고 있다. 힌두교인들은 갠지스강을 신이 내린 축복이자 선물이라 생각하고 일생을 이 강과 함께한다. 강물로 몸을 씻고 음식을 만들고 목을 축인다.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자랐던 광화문은 한 많은 문화재였다.“제대로 만들어
보자
”이런 광화문을 새롭게 살려
보자
는 의견이 모아지면서 2006년부터 복원작업이 시작됐다. 먼저 틀어진 광화문의 위치를 바로 잡자는 데 의견이 모였다. 근정전, 근정문, 흥례문과 직선축을 이루는 원래위치에 복원하기로 했다. 새로 짓는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것이다. 전자가 뉴턴식 해답이라면 후자는 아인슈타인식 해답이다.조금만 딴지를 걸어
보자
. 질량을 가진 물체는 왜 서로 끌어당길까. 질량과 에너지는 왜 우주의 시공간을 휘어놓을까.당돌하게 이런 질문을 던져본 학생이라면 선생님이 당황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당연하다. 아직 어떤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09
둘다 분산현상으로 나타난 무지개다. 먼저 물 위에 뜬 기름 막에 생긴 무지개를 살펴
보자
. 물 위에 얇은 기름 막이 있으면 과 같이 위에서부터 [공기-기름 막-물]의 세 가지 다른 매질이차례대로 위치한다. 이때 위에서 빛이 비추면 [공기-기름 막]의 경계에 입사하면서 일부는 공기 중으로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발자국 길이(14㎝)×4) = 1.34*시속 5㎞ 정도로 걷는 걸음.타르보사우루스의 속도를 계산해
보자
!❶ 한 걸음 거리 366.5㎝❷ 발자국 폭 43.8㎝❸ 발자국 길이 56.1㎝ 한 걸음 거리(366.5㎝)÷(발자국 길이 (56.1㎝)×4) =?정답 약 1.63, 시속 8㎞ 정도로 걷는 걸음.*공룡의 정확한 속도는 걷는 걸음에서 달리는 ...
열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09
핀을 들어 올리는데도 힘이 적게 드는 빗면의 원리가 사용된 것이다.간단한 실험을 해
보자
. ❶ 가로로 긴 직육면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잘라 빗면을 만든다. 이 빗면을 핀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핀의 아랫부분에 넣는다.▶ 핀의 높이는 조절되지만 경계선을 일직선으로 맞추기 어렵다.❷ 톱니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