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제1회 규제과학 혁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예측 정확도는 73.8%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4월호에 공개됐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은 26일 ‘연세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센터는 연세대의료원 산하 강남세브란스병원, ... ...
[과기원은 지금]원자력연-KAIST 방사성 물질 흡착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양희만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과 최민기 KAIST 교수팀은 27일 우라늄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 세슘과 스트론튬을 골라 ... 화학작용기를 끼워 넣어 기공 특성을 바꿀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매터’에 26일 공개됐다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세계적으로 수박 연구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다. 2013년과 2019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유전학’에는 수박의 유전자 지도가 공개됐는데, 이 연구도 중국 연구진이 발표했다. 이 교수는 “한국 수박은 육종 기술을 이용해 세계에서 당도가 가장 높고 과육이 아삭해 인기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설픈 전문가들의 억지에 흔들리는 사회
2021.05.26
환경공학을 전공한 원로 과학자가 자신이 편집하는 환경 분야의 과학논문인용색인(SCI)
학술
지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어떠한 과학적 근거도 찾아볼 수 없다. 코로나19가 입을 통해서 감염되기도 한다는 명백한 과학적 사실도 철저하게 무시해버렸다. 일부 과학자들의 억지에 대한 적극적인 해명이 ... ...
"미국 백인보다 유색인종이 도시 열섬현상에 더 많이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흑인과 히스패닉, 아시아계가 더 열섬에 많이 노출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26일 공개했다. 열섬 현상은 도시화가 진행되며 난방 시설과 자동차열 등 사람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교외보다 보통 3~4도 높다. 열섬 현상은 도심의 대기질과 큰 연관이 있다 ... ...
'임상 참여할까, 검증된 백신 맞아야 하나' 백신 임상시험 참가자 딜레마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백신 개발을 뒤늦게 시작한 한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마틴 엔셀링크 사이언스 국제뉴스 편집자의 백신 임상시험 참여기를 24일 공개하며 “임상 참여자들이 성공을 바라는 임상에 계속해 참여할지 혹은 임상을 포기하고 확실한 백신을 ... ...
'백신 효과' 믿던 영국도 위협하는 인도 변이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것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1.617로 알려진 인도 변이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4일(현지시간) 현재까지 인도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알려진 과학적 사실을 정리했다. 기존 변이바이러스에 비해 감염력이 얼마나 센지, 백신 접종으로 형성된 면역력을 회피할 수 있는지가 ... ...
[르포]이산화탄소, 화학원료 '나프타'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결합시키는 방법을 찾아내 고성능 촉매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촉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ACS) 촉매’에 올해 2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이산화탄소를 전환하는 기술은 아직은 부족한 경제성을 채우는 게 관건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수소가 필요한 만큼 수소 가격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가능하다면 인공호흡기를 대신할 수 있는 치료법이 될 수도 있다. '메드' 제공
학술
지 ‘메드(Med)’ 5월 14일자 온라인판에는 적어도 동물실험에서 이런 방법을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일본 도쿄의대 다케베 다케노리 교수팀은 생쥐와 돼지의 직장에 산소가 많이 들어있는 용액을 주입할 경우 ... ...
마이크로LED 제작시간·장비투자 10분의 1 줄인 공정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100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학술
대회인 ‘2021 SID 디스플레이 위크’에서 최신 기술 논문으로 소개해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최광성 마이크로 LED 다기능소재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국내 디스플레이 기업 등에 이전하면 스마트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