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512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정리해 ‘수리물리학저널’에 보냈고 다음날 게재확정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
필자
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될지도 모르겠다. 물론 ‘의사의 동의’ 없이는 절대로 실행해서는 안 된다! ※
필자
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 ...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서 원장님으로부터 고맙다는 연락을 따로 받기도 했어요. 유 :
필자
인 저희도 한 부씩밖에 받지 못했습니다. 자연히 주변에 나누어줄 수 없어 반응을 확인하기 어려웠죠. 향후 추가로 발간되거나 개정판이 간행되면 더 자세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겠지요. 후속 연구로는 어떤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
2015.11.09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게 오히려 ‘비범한’ 일로 여겨진다는 게 문제겠지만. ※
필자
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있는 곳 어디서나 박테리오파지가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
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의 모습과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수직으로 서 있었다. - 로알드 달, ‘정복왕 에드워드’에서 그림을 그리는 게 취미인
필자
는 연초 양띠 해(을미년)를 맞아 양을 소재로 유화를 하나 그렸다. 그런데 양의 눈을 그리다가 뜻밖의 발견을 했다. 양의 눈동자(동공)가 동그랗지 않고 가로로 길쭉했다. 실눈을 뜬 건가 싶어 자세히 봤지만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앞서 있었다. 학술지 ‘사이언스’의 온라인에 미리 소개된 논문을 다운받아 읽어본
필자
는 그 스타일에 또 한 번 놀랐다. 보통 논문은 실험결과를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내용만 건조하게 서술돼 있기 마련인데, 이 논문은 마치 기사를 합쳐놓은 듯 자신들이 성공에 이르게 된 긴박한 과정을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야생 효모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2011년에야 라거맥주 효모의 조상 찾아 앞서
필자
가 사카로미세스 세레지비지에를 학명의 뜻에 맞는 맥주효모보다 빵효모로 쓰겠다고 언급한 건 맥주의 종류에 따라 쓰이는 효모가 다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맥주의 대세인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밝혔다. 수년 전 교과서 진화론 논란을 취재하며 종교의 맹목성과 독선을 접하고 좀 질린
필자
로서는 10억 명이 넘는 신자를 두고 있는 거대 종교의 수장이 ‘이성과 관용, 자비와 절제’를 지닌 사람인 것 같아 무척 다행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것으로 추정했다. ‘제3 순환계의 미래’라는 주제의 두 번째 짧은 강연까지 듣고 나서
필자
는 봉한관(프리모관) 연구가 꽤 진행됐음에도 여전히 주류의학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좀 의아하기도 했다. 질문응답시간에 한 관객이 외국의 연구현황을 묻자 소 교수가 “국내연구가 사실상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