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장
대통령
사회자
교장
뉴스
"
총장
"(으)로 총 1,702건 검색되었습니다.
“젊은 연구자에게 5년간 안정적인 기회를 주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학과를 없앴다. OIST의 모든 교수는 물리, 생명 등 원하는 분야를 넘나들 수 있다. 그루스
총장
은 “일본의 대학 구조를 재구성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작은 신진 학교여서 (일본) 산업계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2018국감]‘셀프임용’한
총장
, 자식 학위 준 교수부모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회피’ 조항을 두고 있는데, 3명 모두 아무 절차를 밟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신
총장
은 “상급자인 학과장 보고를 하지 않은 등 절차상 문제가 있었고 한국 정서에 맞지 않은 면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대를 이은 연구는 외국에서도 볼 수 있는 일”이라고 해명했다 ... ...
인간 '생체시계' 가진 생쥐로 파킨슨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생명과학부 명예교수 등이 강연을 했다. 피터 그루스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OIST)
총장
은 ‘우리는 과학 없는 세상에서 생존할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19일 서울 서초구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열린 ‘분자세포생물학의 최근 동향’ 학술대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 ...
"도시의 재건 모델 대학이 찾는다" 韓獨 거점대 손잡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한국독일동문네트워크 이사장) 등 양국 주요인사 400명이 참석했다. 전호환 부산대
총장
은 이날 “벤츠·BMW·지멘스 등 기업을 통해 기술력과 경쟁력을 입증한 독일 공대의 산업지향적 고등교육 정책은 한국의 대학들에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며 “대학 중심의 도시 재건은 탈산업화로 ... ...
“LNG도 언젠가는 고갈될 자원…화석연료 문제 반복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분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유지하는 기술이 그 중 핵심이다. 비고 사무
총장
은 “핵융합에너지가 아니더라도 미래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대체 에너지 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2050년대에 누군가 반드시 ... ...
손상혁 DGIST
총장
3개월 '감봉'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끝난 후 펠로로 복직하지 못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학교 관계자는 “손
총장
의 비위 사실은 관행적으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해 오던 방식”이라며 “지적사항을 검토하고 이사회를 통해 추가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 ...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수 있는 현행 제도로는 기존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버나드 비고 ITER 사무
총장
도 “핵융합 발전의 성공 여부는 인적 자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카다라쉬=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 ...
[과학게시판]중앙과학관 전국과학경진대회 순회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 인재 교육 위기 탈출하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민동준 연세대 부
총장
이 ‘새로운 과거와 오래된 미래를 위하여’를 주제로 강연하고, 장갑수 캐나다 서스캐처원대 물리학과 교수, 정현숙 EBS PD, 이재호 경인교대 컴퓨터교육과 교수 등이 패널 토론을 벌인다. ◆한국원자력연구원 ... ...
"창업하고 싶다면 누구나 오세요"…지원대상 울타리 없앤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일본 샤프, 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서도 근무했다. 신성철 KAIST
총장
은 "학교 울타리를 넘어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에게 문호를 개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답변하고 있다. 다음은 노벨위원회의 선정 이유 ▲존 한슨 노벨상 선정위원회 사무
총장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연구는 광학장비와 관련된 것이다. 영광의 인물은 두 그룹, 총 세 명이다. 광학집게와 생물시스템 장비를 개발한 아서 애슈킨 박사가 한 축이고 고출력 레이저를 개발한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