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잉카의 후예 께로족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모양과 색깔을 달리해 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것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잉카 문자의
흔적
이다.라마와 알파카가 유일한 재산아침마다 수를 세는 수고를 해야 할만큼, 께로족에게 알파카와 라마는 없어서는 안될 더없이 중요한 재산이다. 이들은 1년에 한 번 라마를 위해 일종의 의식을 치른다. ... ...
치밀한 설계 정교한 시공 거미줄의 미학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만나보자.정원이나 집안의 후미진 곳에 쳐 있는 거미집은 먹이를 찾기 위한 탐색 활동의
흔적
이다. 대부분의 거미들은 매일 새로운 거미줄을 만드는데, 환경에 따라 약간 다르다. 거미들은 평생 동안 2백개정도의 거미집을 만든다. 거미집이 얼마나 잘 지어졌느냐는 거미줄에 걸려든 먹이의 숫자에 ... ...
환생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대단히 정확하다.뛰어난 관찰자엿던 다 빈치의 예술작품에는 예술과 과학을 동일시 했던
흔적
을 찾을 수 있다. 모나리자 같은 인물화 뒤의 배경도 물과 하늘, 지구 등이 관련된 과학적 주제로 처리하고 있다.1452년 다 빈치가 태어날 당시, 이탈리아는 르네상스 전성기를 맞고 있었다. 중력의 개념도 ... ...
인해전술 구사하는 군대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후방으로 운송되고 군대의 행진은 계속된다. 그들이 휩쓸고 지나간 뒤에는 거의 생명의
흔적
조차 찾을 수 없는 폐허만 남는다.이렇듯 가는 곳마다 쑥밭을 만드는 지나친 파괴 습성 때문에 개미군대 역시 한 곳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늘 떠돌아 다녀야 한다. 어느 양지바른 곳을 택하여 굴을 파고 그 ... ...
홈뱅킹 중단 위기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통한 홈뱅킹 서비스를 차단하겠다는 것과 함께 PC통신망을 통한 홈뱅킹 서비스의
흔적
을 분명히 남겨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겠다는 의미다.인터넷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이번처럼 텔넷을 이용해 인터넷 - PC통신 - 은행전산망의 순으로 홈뱅킹에 접근하는 일도 늘고 있는데, 은행측은 ... ...
2. 무엇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주입한 경우 이런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즉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RNA를 통해 기억의 ‘
흔적
’이 전달된 것이다.한편 1982년 미로 찾기를 비롯해 문제 해결 능력이 우수한 쥐가 열등한 쥐보다 뇌 안에 RNA를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이 보고됐다. 또 1984년에는 쥐를 자극 상황(예를 들어 미로에 잘못 ... ...
96화성탐사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2년 뒤 마리너 9호는 북반구의 너른 평야와 물이 흘렀던
흔적
으로 보이는 수로, 장대한 화산과 계곡을 담은 생경한 사진들을 보내왔다. 화성의 두 반구는 판이했으며, 화성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그러나 세인의 관심은 “화성에 생명체가 ... ...
화성 생명체 우주인은 있을까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화성 생명체’가 지구촌을 강타하고 있다. NASA는 앨런힐스 운석 속에 들어있는 PAHs가 화성 생명체의
흔적
이라고 발표했다. 이 물질은 과연 생명의 씨앗인가. 또한 이를 계기로 아직도 미해결의 장으로 남아있는 생명의 기원 문제를 알아보자. ...
1. '화성 생명체' 둘러싼 5가지 쟁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문명체는 아닐지라도 미생물체가 과거에 존재했을 수는 있다. 그
흔적
을 찾아낸다면 지구 생명체의 기원을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화성 생명체' 사건이 지나치게 과장되다 보면 '거짓말하는 양치기 소년' 의 우를 범하기 십상이다. 화성생명체의 진위 여부를 떠나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아파토사우루스의 화석 가운데 종종 알로사우루스에게 물린
흔적
이 보인다.오르니톨레스테스(Ornitholestes)쥐라기 말(1억5천만년 전)에 긴 발을 이용해 작은 척추동물을 잡아먹고 살던 육식공룡. 몸길이 2m. 몸무게 12.5kg. '새도둑'이란 뜻을 지니고 있으며 몸무게가 매우 가벼운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