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4를 통해 우주의 법칙을 표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변질돼 잘못 알고 있는 거라고 말한단다.이야, 4가 좋은 수였네요. ‘오감도 시제4호-환자의 용태에 관한 문제.’라는 이 시도 독특해요.이 시에서 ‘진단 0·1’에서 0은 탄생, 1은 죽음으로, 첫 줄과 마지막 줄을 압축한 거래. 10개의 숫자를 갖고 태어난 사람이 점차 줄어들어, 마침표가 1 앞에 와 ...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3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깨어나기 위해 볼을 세게 꼬집었어. 어라랏! 그런데 왜 꿈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거지? 호…, 혹시 꿈이 아닌가?숨은그림찾기!극한이와 으냥이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장면에 숨어 있는 그림을 찾아보세요.안경, 달팽이, 가오리, 빗, 애벌레열어야 산다!으아아악~! 아무리 볼을 세게 꼬집어도 잠에서 깨지 ...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영주에 도착하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을 만날 수 있어. 바로 국보 제18호인 부석사의 무량수전이지.무량수전은 가로 61.9자(고려시대의 1자=32.21cm), 세로 38.2자의 직사각형 건물이야. 가로와 세로의 비가 1.62:1로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진 황금비율을 하고 있지. 무량수전의 불상은 다른 ... ...
- 이 세상에 단 하나수학동아 l2010년 08호
- 4이므로 13번째 수는 6이 맞다.수학동아 같은 잡지는 8자리의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ISSN)를 쓴다. 이때 마지막 자리의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앞의 7자리 숫자에 각각 8부터 2까지의 수를 내림차순으로 곱한 다음 더한다. 이 값을 11로 나눠 나머지를 구한 다음, 다시 11에서 뺀 수가 체크숫자다. ...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지구과학]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를 말한다. 대부분의 생물체는 세포 구조를 통해 그 특성을 ... 발생 메커니즘에 따라 취송류(에크만 수송), 지형류, 경사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지형류의 원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계약을 맺었고 그 약속을 잘 지켰는지 합리적으로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이번 나로호 2차 발사 실패를 계기로 우주개발에 대한 인식과 기초체력을 다시 다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장영근 교수는 “한국 우주발사체 사업은 1998년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 실험 직후 급박하게 진행하다 ...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머리 위 돌기에서 빛을 내보내 먹이를 유인해.온누리 호와, 쇄빙연구선 아라온 호 안에는 연구 활동을 위한 장비가 갖춰져 있어. 무인잠수정 해미래는 6000m까지 잠수가 가능하다고 해.이어도종합해양과학기지는 태풍의 길목에 있어. 무궁화 위성을 통해 기상청에 실시간으로 태풍에 대한 정보를 ... ...
- 대중교통 정복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km당 62.83원, 새마을호는 93.28원, KTX는 158.09원이다. 서울에서 대전까지 166.8km 거리를 무궁화호로 가면 (166.8km×62.83원)=10480원이 나오는데 실제 요금인 10500원과 같다.KTX는 몇 단계가 더 필요하다. KTX로 서울에서 부산을 가려면 KTX 전용선 구간과 기존 철로 구간을 거친다. 기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코스모스 1호를 실은 로켓을 발사했으나 정상궤도에 올리는 데 실패했다. 코스모스 1호는 태양돛이 8조각으로 나눠져 따로 움직일 수 있다.➌ 미국 행성협회가 NASA와 공동으로 개발한 소형 우주범선 나노세일D. 태양돛의 면적이 9.3m2에 불과하다. 2008년 8월 발사됐으나 궤도진입에 실패했다.➍ 6월 17일 ...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필요했다. 학교 도서관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956년 12월호를 읽기 시작해, 마지막 칼럼까지 읽고 나서야 그가 얼마나 위대한 인물인지 알게 됐다. 매년 미국에서는 그의 글을 읽고 자란 사람들이 모여 G4G(Gathering for Gardner) 축제를 연다. 언젠가 이 모임에 가서 마틴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