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년
년도
학기
학급
d라이브러리
"
학년
"(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1만 2000여 명이 접수한 2011
학년
도 수능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대학입시는 준비과정과 교육환경에 대한 많은 이슈와 논란이 있었다. 먼저 수시모집 인원이 70% 가까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정시모집 인원이 줄었다. 정시모집만 생각했을 때는 해가 갈수록 대학가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한국판 미디어랩은 올해부터 신입생을 선발한다. 2011
학년
도 수시모집에서 IT명품인재전형을 통해 학부 신입생을 20명 뽑는다. 글로벌융합공학부로 들어오는 신입생 120명은 모두 똑같은 교육을 받지만 그중 20명에게만 IT명품인재양성 사업의 혜택이 돌아간다. ... ...
인생의 갈림길, 선택과 책임은 내 몫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 문과와 이과 사이에서 갈팡질팡 C시 K고 1
학년
P학생 “너는 꿈이 뭐니?” “…” “성적은 얼마나 나오니?” “평균 5~6등급이요.” “꿈이 없으니까 성적이 그렇게 밖에 안나오는 거 아닐까? 왜 공부해야 되는지 모르겠지?” 성적을 끌어올리는 힘든 싸움을 하려면 열정이 필요하다. 열정에 불을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같이 탈분극이 축색을 따라 발생해 흥분이 이동하는 현상을 전도라고 한다. (건국대 2010
학년
도 모의논술 제시문 일부 참고)감각수용기의 유형감각수용기는 자극의 유형에 따라 기계적수용기, 화학수용기, 전자기수용기, 통각수용기로 구분된다. 기계적수용기는 물리적 변형을 감지해 탈분극이 ... ...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는 처음으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배우게 되는데, 이때 기초를 놓치면 중학교 1
학년
이 돼서도 똑같은 고생을 해요. 모르는 채 넘어가지 않도록 스스로 자기 실력에 솔직해지는 것이 중요해요.또 6
학년
때 나오는 도형 단원에서는 겉넓이 구하는 단원을 많이 어려워해요. 특히 한 부분이라도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대학교까지 계속 진학할 학생이 속하는 첫 번째 모듬이지요. 중등과정의 마지막인 10
학년
을 마치면 수학인증시험을 치기도 해요. 이 시험에 통과한 학생에게는 자격증을 주거든요.물론 모든 나라가 수학교육 환경을 잘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에요. 이탈리아에서는 수학이 많은 과목 중 하나일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속에서 함수가 이용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중학교 3
학년
에서 배우는 이차 함수에 관한 내용입니다. 교과서는 문제보다 앞서 실제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행기에서 뛰어내릴 때 걸리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거리를 함수로 만들고 이를 표와 함수식으로 만든 ... ...
특별기획 2011
학년
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준비했던 학생들은 면접에서 실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각 학교별로 2011
학년
도 면접이 어떻게 실시될지 살펴보고 준비하자. 전년도에 이미 면접을 실시한 민사고와 하나고의 기출 문항을 참고해 유사한 문항을 스스로 만들어 답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다.영어 대비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보면 잠자리 머리 부분에 무게중심이 생긴다고 해.페르마의 점을 찾아보자대기고등학교 2
학년
수학동아리 친구들이 비눗물을 이용해 페르마의 점을 찾아 보여 주고 있었어. 페르마의 점은 삼각형의 각 꼭짓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가장 작게 되는 점을 말하거든. 아크릴 판으로 특별 제작한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무엇일까. 체벌이 공포와 불안감을 일으켜 학생들의 행동을 즉시 바꾸기 때문이다. 새
학년
초에 반 학생 앞에서 본보기로 떠든 학생을 체벌하는 교사의 예를 들어 보자. 이후 그 교사의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떠들지 않는다. 이것을 체벌의 효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강화에 해당한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