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아주 쉬운 롤링 큐브 미로로, 주사위를 요리조리 굴리다 보면 금세 답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롤링 큐브 미로는 답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이 미로를 만든 애벗은 최단 경로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답을 찾을 수 없었다. 결국 고민 끝에 수학자에게 의뢰했다.그 결과 2007년 캐나다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다양한 물질에 달라붙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고 말했다. 실험 결과, 코팅처리를 하지 않은 이파리보다 세포가 더 잘 붙을 뿐만 아니라 의도한 세포가 먼저 조직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doi:10.1002/adhm.201601225).연구팀은 현재 생체적합성 연구 외에도 식물 잎을 자유자재로 조직하는 기술을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분석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미처 분리해내지 못한 세균, 극한 환경에 살고 있어 배양하지 못하는 세균을 연구팀은 한꺼번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양한 분류군에 있는 남세균 41종의 게놈 데이터를 뽑고, 세포호흡(산소로 당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기준으로 계통수를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계처럼 아직 태어나지 않은 2030년생의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광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수명은 후천적 영향을 많이 받아 시시때때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통계적 방식보다는 메틸화 분석법이 훨씬 정확하게 기대수명을 예측할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장수하기 위해서는 운동 없이도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발이 완료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한 운동효과 약물은 전무한 실정이다. 연구자의 한 명으로서 분발을 다짐해 본다.*이광표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선임연구원으로 7년째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것일 테니 꽃잎이 3개짜리인 해바라기 정도는 당연히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1.99n과 2n은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9n을 2n으로 나누면 n이 충분히 클 때 0에 가까운 수가 됩니다. 따라서 n이 충분히 크면 1%도 안 되는 부분집합만 뽑은 셈이 되지요.1978년에 제기된 약한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하림은 순간 바짝 긴장했다.“너희 아빠가 그런 테러를 계획했던 건 잘못이었을지 몰라. 하지만 결국 너와 너의 자식들이 안전한 우주선 안에서 더 확실한 곳을 찾기 원했던 거야. 아아, 네가 태어나기를 얼마나 기다렸는데. 결국 네가 태어나는 것도 볼 수 없었지. 네가 태어나면 들려주겠다며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입에 올리는 건가? 집단 선택 같은 낡은 유물은 이제 잘 포장해서 박물관으로 보내버려야 하지 않나? 해밀턴은 즉시 대답했다. “물론 아니죠.”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그러니까 당신은 집단 선택을 정말로 믿는다는 말씀이죠?” 프라이스가 들뜬 목소리로 의기양양하게 대꾸했다. “아, 그럼요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일된 노화학설을 제안하기 위한 시도도 있다.모든 노화 현상의 공통점은, 세포가 증식하지 못하는 대신 외부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점에 주목해 노화가 핵막의 물질이동 제한에 기인한다는 ‘노화핵막장애설’을 제안했다6). 노화가 일어나는 세포 활동을 관찰한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떠났습니다. 수컷은 다시 짝짓기를 할 때가 되자 둥지가 있던 지역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전에 둥지가 있던 자리가 아닌 다른 자리에서 새로운 둥지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왜 이런 모양을 만든 걸까요. 연구팀이 모형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계곡 모양의 바깥 원이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는 안쪽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