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만일 가시광선만으로 우주를 보려고 한다면 이는 나무만 보고 숲 전체를 파악하려는
잘못
을 범하는 것이다. 그래서 다양한 파장으로 우주를 보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다.최근 한국 천문학계도 우주의 진면목을 제대로 캐기 위해 다양한 ‘눈’으로 무장하고 있다. 자외선우주망원경 갤렉스를 비롯해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사람의 욕구도 착시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배가고플 때 다른 그림을 음식 그림으로
잘못
보는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 또 사막에서 있지도 않은 오아시스가 보이는 현상을 같은 이치로 설명하기도 한다.감각기관인 눈과 심리적 요인이 결합돼 일어난오류다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발생해 훈련을 중단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기온이 낮아 체온이 떨어지므로
잘못
설계된 고지대 훈련은 선수에게 오히려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지대 훈련의 부작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저산소 발생 장치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고지대 환경을 만드는 기기가 발명됐다. 고산지대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암술을 가운데 놓고 그 둘레에 정소인 수술들이 싸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잘못
생각하기 쉬운 것이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제꽃가루받이(자가수분)를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암술 둘레를 싼 제 수술의 꽃가루와는 꽃가루받이를 피한다는 얘기다. 식물은 제 꽃의 꽃가루와 수분을 하면,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물에 늘어뜨리고(懸垂) 이산화탄소를 보내서 만든다 인의 과산화산 과인산이라고
잘못
불릴 때가 있다 수용액은 불안정하지만 염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아질산염을 산성으로 하여 과산화수소로 산화시키면 이 물질의 수용액이 나온다 브롬화수소에 작용하여 브롬을 유리시킨다불안정한 화합물로 ... ...
4 원자 단위로 물질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어떤 기능을 갖는지를 이해하려는 연구가 중심에 있다. 인류의 질병은 단백질의 기능이
잘못
되면서 발생하거나 또 외부의 새로운 단백질이 몸에 침투해 면역기능을 저하시켜서 생기기 때문이다.때문에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일이 중요한 생명공학 과제로 다뤄지고 있다. 지금까지 단백질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초반인 1950-60년대에는 양성자 시설들이 대부분 물리실험에 집중적으로 사용됐었고,
잘못
된 치료에 의한 부작용이 생겨 입자를 이용한 암치료에 대한 인식도가 높지 못했다.앞으로도 양성자 치료가 좀더 정확하게 암치료에 이용되기 위해서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방사선 치료의 최대 약점은 ...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진행될 수 있다. 우리는 미래의 모습을 결정할 수 있는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순간의
잘못
된 판단으로 인해 다가올 미래는 디스토피아를 그린 영화보다 더욱 불행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겠다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구조가 ‘진화가능성’때문에 선택됐다고 주장한다. 즉 모듈 구조는 그 내부의 작은
잘못
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쉽사리 무너지지 않는 완충력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듈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어느 정도 독립성을 지닌다. 완충력과 준독립성은 진화가능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보도하지 못했던 것이다.과학적 이해와 역사적 안목 필요우리는 한국의 과학사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많다. 당시의 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 현재의 눈으로 과학기술의 역사를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오늘날에도 새로운 발견이나 발명을 한 과학기술자만을 눈여겨보려고 한다. 그렇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