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사람의 욕구도 착시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배가고플 때 다른 그림을 음식 그림으로
잘못
보는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 또 사막에서 있지도 않은 오아시스가 보이는 현상을 같은 이치로 설명하기도 한다.감각기관인 눈과 심리적 요인이 결합돼 일어난오류다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눈을 돌린다. 과학이 순수한 지적 호기심의 추구이므로 그것은 아름다운 것이고 설사
잘못
이용되더라도 과학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은 틀렸다고 보기 시작했다. 그는 “과학이 좋은 쪽으로나, 나쁜 쪽으로 응용될 수 있는데, 이것을 만든 과학자에게 책임이 없다는 것은 무책임한 말”이라고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발생해 훈련을 중단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기온이 낮아 체온이 떨어지므로
잘못
설계된 고지대 훈련은 선수에게 오히려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지대 훈련의 부작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저산소 발생 장치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고지대 환경을 만드는 기기가 발명됐다. 고산지대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암술을 가운데 놓고 그 둘레에 정소인 수술들이 싸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잘못
생각하기 쉬운 것이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제꽃가루받이(자가수분)를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암술 둘레를 싼 제 수술의 꽃가루와는 꽃가루받이를 피한다는 얘기다. 식물은 제 꽃의 꽃가루와 수분을 하면,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물에 늘어뜨리고(懸垂) 이산화탄소를 보내서 만든다 인의 과산화산 과인산이라고
잘못
불릴 때가 있다 수용액은 불안정하지만 염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아질산염을 산성으로 하여 과산화수소로 산화시키면 이 물질의 수용액이 나온다 브롬화수소에 작용하여 브롬을 유리시킨다불안정한 화합물로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초반인 1950-60년대에는 양성자 시설들이 대부분 물리실험에 집중적으로 사용됐었고,
잘못
된 치료에 의한 부작용이 생겨 입자를 이용한 암치료에 대한 인식도가 높지 못했다.앞으로도 양성자 치료가 좀더 정확하게 암치료에 이용되기 위해서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방사선 치료의 최대 약점은 ... ...
4 원자 단위로 물질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어떤 기능을 갖는지를 이해하려는 연구가 중심에 있다. 인류의 질병은 단백질의 기능이
잘못
되면서 발생하거나 또 외부의 새로운 단백질이 몸에 침투해 면역기능을 저하시켜서 생기기 때문이다.때문에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일이 중요한 생명공학 과제로 다뤄지고 있다. 지금까지 단백질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를 통해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물려진다고 생각했다.다윈과 19세기 사람들의 생각이
잘못
됐음을 지적한 사람이 멘델이었다. 그는 1856년부터 7년 동안 완두콩 교배실험을 통해 씨앗마다 어떤 유전형질을 갖고 있는지, 또 어떤 경우 잡종이 나오는지를 알아보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유전은 피가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우주에 대한 비밀을 상당부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초끈이론은 ‘20세기에
잘못
떨어진 21세기 이론’이라는 별명을 가진다. 우연한 기회에 20세기에 발견되긴 했지만 이론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정교한 수학적 도구가 만들어지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다보니 1990년대 ... ...
마이너스 시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분이 많고 자녀에게 억지로라도 안경을 쓰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아직도 있는데 이는 큰
잘못
이다.아이의 키가 크는 것처럼 눈도 성장하는데, 근시의 경우 이 과정에서 초점과 눈 뒤 망막이 점점 더 멀어져 도수가 높아지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과정이고 안경으로 인해 더 나빠지는 것이 아니다. 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