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물
작
예술품
미술품
문학
문예
문헌
d라이브러리
"
작품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뒤 경비행기를 타고 기러기와 함께 수백km를 이동한다는 스토리이다. 자크 페랭이 이
작품
을 보고 ‘위대한 비상’의 영감을 얻었으므로 철새와 함께 비행하며 촬영하는 아이디어의 원조는 빌 리쉬먼인 셈이다. 새들이 경비행기를 보고 도망치지 않고 함께 날 수 있었던 것은 알에서 깨면서부터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측면이 강합니다. 다만 그림이나 음악은 대부분 한 사람의
작품
이지만 저희 결과는 공동
작품
이라는면이 큰 차이죠.”네트워크컴퓨팅에 대해 설명해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송 교수는 뜬금없이 전산학의 예술론을 펼친다. 그에 따르면 앞으로 전산학 분야에서 예술적 소양과 창조적 상상력의 비중이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화폭 위에서 깨달은 것이다.당시 화가들은 4차원을 3차원에서 표현하려고 했다. 피카소의
작품
가운데 ‘마라부인’을 보면 눈 속에 눈이 있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는 4차원의 3차원 투시도를 암시한다. 만일 4차원의 물체가 있어서 3차원에 투영한다면 입방체 속에 입방체가 있는 모습이 될 것이다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둘만의 공통점이다.프리만 다이슨 교수가 본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만의
작품
아니다”뜻한대로 행해도 도를 잃지 않는다는 종심(從心)의 나이를 이미 오래전 훌쩍 뛰어넘었기 때문일까. 81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프리만 다이슨 교수는 인터뷰 내내 자신의 생각을 조리있게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아의 숨겨진 아버지란 말인가. CD에 담긴 음악을 재생해주는 레이저가 아인슈타인의
작품
이다. 레이저는 할인점에서 바코드를 읽을 때 뿐만 아니라 DVD플레이어 등 정보를 저장하고 읽어 들이는 곳에서 널리 쓰인다. 광통신과 홀로그래피도 레이저를 이용한다.이밖에도 레이저의 쓰임새는 많다. 196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위원회도 “올해는 특수상대론을 일반인들에게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작품
을 선정해 상을 수여할 계획”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다.1월부터는 대중을 대상으로 한 아인슈타인 두뇌 강좌, 아인슈타인의 일생과 업적을 소재로 한 1인극 ‘아인슈타인과 함께 한 저녁’공연 등 8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단편소설 부문, 수기 부문, 아동문학 부문, 만화 부문으로 공모가 이루어졌습니다. 본
작품
은 아동문학 부문 당선작입니다.“지구에 다 왔어요!”선장의 목소리에 잠에서 깨어난 벼리는 얼른 창밖을 내다보았다. 그러나 푸른 별 지구의 모습은 찾을 수가 없었다.“어디에 지구가 있다고 그래요?”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물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기원전 3000년 이전 것을 비롯해 1000점이 넘는
작품
을 분석한 결과 창던지기 등 기술이 필요한 동작을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오른손을 사용했다. 한편 왼손을 사용한 경우는 약 8%로 오늘날 왼손잡이 비율인 10%와 비슷했다.결국 인류는 200만년 전 이미 대부분이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치러낼 수 있음을 보여줬다.“성공하는 영화제를 위해선 보통 영화관에서 볼 수 없는
작품
들을 소개해야 한다. 새로운 재능의 발견과 테마를 통해 발굴한 영화들을 보여주는 영화제야만 관객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 영화제와 소통한 관객들은 다시 영화제를 지속시키는 힘이 되어준다. 그래서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특히 그의 다비드상은 인류가 만들어낸 조각 중 최대 걸
작품
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
작품
이 얼마나 정확한가는 몸 중간의 음낭을 보면 알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왼쪽이 약간 아래쪽으로 처져 있다. 실제 대부분 남자의 음낭 역시 왼쪽이 약간 아래 놓여 있다.음낭이 비대칭인 이유를 찾아내려고 많은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