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폐로 들어가려면 조류의 분변이 말라 가루의 크기가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하로 작아져야 하고 동시에 다량의 바이러스가 수용체에 달라붙어야 한다. 충북대 수의대 모인필 교수는 “조류의 분변가루 크기가 100μm가 될 수준으로 마르면 바이러스는 이미 모두 죽어버릴 것”이며 ...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미국의 X-프라이즈 재단은 100명의 인간 게놈을 10일 안에 한 사람당 1만 달러(약 1000만 원) 이하의 비용으로 해독하는 기관이나 연구팀에 1000만 달러(약 100억 원)를 상금으로 주는 ‘아콘 X-프라이즈’를 발표해 시퀀싱 기술 개발을 독려하고 있다.다행히 인간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시퀀싱 기술은 ...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8년 06호
- 1000조 분의 1g 수준으로 돌아다닌다는 뜻”이라며 “아직 기술적으로 1000억 분의 1g 정도 이하는 검출할 능력이 없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우 교수팀은 변형 프리온의 미세한 양을 증폭시켜 현재의 검출 한계를 극복하려고 연구 중이다. 변형 프리온이 포함된 물질을 실험동물에 ... ...
- “지구 최후의 날을 대비하세요~!”종자저장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요?27x10m의 큰 방 세 개로 이루어져 있어요. 곡물 종자들은 영하 18℃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되는 데, 혹시 냉동장치가 고장나도 괜찮아요. 이 곳의 온도는 영하 3.3℃ 이상 올라가지 않는 영구 동토층이거든요. 게다가 리히터 규모 6.2의 지진에도 끄떡없고, 핵 공격이나 운석 충돌 ...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친환경 바람이 거세다. ‘녹색 바람’의 선두 주자는 로얄 필립스 일렉트로닉스(이하 필립스). 필립스는 2005년 에너지 효율을 높인 조명 ‘코스모폴리스’를 개발해 현재 유럽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 중이다.코스모폴리스의 최대 장점은 전기를 덜 먹는다는 것. 1W당 밝기가 120루멘(lm, 밝기 단위 ... ...
- 10대들의 화학 축제 '화탐프'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실험에 미친 팀이다?!”2007년 제 4회 화학탐구 프런티어 페스티벌(이하 화탐프)에서 대상을 받은 인천과학고 2학년 김정호 군과 이치우 군은 스스로를 이렇게 정의했다. 그들은 이 대회에 참가해 약 세달 동안 평소 관심 있던 과학 주제를 마음껏 탐구했다. 그야말로 실험의, 실험에 의한, 실험을 위한 ... ...
-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거리가 멀어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항체와 맞는 항원이 붙으면 분자 사이 거리가 수 nm 이하로 좁아져 전류가 발생한다. 휴대전화는 이 전류를 감지해 사용자에게 건강상태를 알려준다.연구팀은 이 기술로 세계 최초로 전립선암과 심근경색 진단에 성공했다. 정 단장은 “다양한 질환 바이오마커를 ...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발전기를 돌려 그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관차 디젤기관은 어느 회전수 이하에서는 운전할 수 없으며, 철도차량은 회전수가 0에서부터 최고속도까지 크게 변하므로 변속장치가 필요하지만,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클러치·변속기 등의 기계식으로는 대마력의 기관차용으로 적합하지 않다화면 ...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자신이 쓴 ‘임페리얼 코리아, 대한제국 대백과사전’(이하 임페리얼 코리아)을 집필한 동기를 들려줬다. 총 5권의 시리즈물인 이 책은 2003년 말에 출간된 SF역사소설인데, 2004년 한국군대와 과학자들이 중동에 파견되던 중 웜홀(우주시공간의 ‘벌레구멍’)에 빠져 189 ... ...
-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짓고 만을 매립하면서 서해안의 복잡한 해안선은 직선에 가까워졌다. 한국해양연구원(이하 해양연) 하구역기능회복연구단 정경태 박사는 “도서 지방을 제외한 경기만의 자연해안선은 40년 전의 13%만 남았다”고 전했다.그동안 난(亂)개발이 진행되면서 경기만 일대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약 250회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