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요인
까닭
근거
동기
이유
기원
d라이브러리
"
원인
"(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와이파이 통신 기술의 특성과 전송대역이 겹치는 현상이 통신 간섭 현상의 기본적인
원인
이다. 이 때문에 와이파이 품질이 나쁘거나 안테나 표시는 있는데도 정작 인터넷이 잘 실행되지 않는 것이다. 최성현 서울대 교수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지하철역 등 핫스팟(hotspot) 지역에서 쓰는 공용 ...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풀립니다. snuCL도 처음 개발했을 때 원하는 성능이 안 나왔어요. 그래서 계속 붙어 앉아서
원인
을 찾고 개선하고 또 개선하고 끝까지 물고 늘어졌더니 처음 목표한 결과가 나왔죠.그리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한다는 신념이 있어요. 사람에게 꼭 필요한데 풀리지 않은 문제가 많아요. 그런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렇게 물이 널리 퍼졌을까. 행성이나 위성별로 물의 양이나 상태가 서로 달라 섣불리
원인
을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다만 각각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가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형성 당시에 암석에서 빠져나온 수증기가 응결했다는 가설, 원시대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비로 내렸다는 가설, 태양풍에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돌 등으로 만들어진 현대 건축물에서 불이 나면 시커먼 연기가 치솟는 이유는 무엇일까.
원인
은 고분자 단열재에 있다.일반적으로 건물을 만들 때 외벽과 내벽에 단열재를 붙인다. 예전에는 동굴처럼 열을 머금고 있는 ‘동굴 효과’를 내는 단열재가 없었다. 그나마 건물 벽돌을 쌓을 때 벽돌과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흡연을 적게 하거나 사회경제적 지위를
원인
으로 제시했다.일부 질병에만 연관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1998년 ‘공중보건영양’지에 실린 티모시 키 영국 왕립암연구재단 박사팀은 7만 6172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10년 이상 추적 연구를 했다. 그 결과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감퇴시키는 방법이다. 이것이 실시된 배경에는 인간의 행동이 기질적(또는 유전적)
원인
때문에 일어나므로 이를 약물과 같은 물리적 처치로 바로잡을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하지만 범죄자를 둘러싼 현대인의 환경을 무시할 수 없다.인간의 행동이 선천적인 유전자 탓이냐, 후천적인 양육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교도소의 상태가 불온한지, 평온한지를 결정하는 주요
원인
으로 긴장과 불화를 손꼽았다. 그리고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적용해 교도소 내 긴장이 고조된 상태에서 불화가 계속 더해지면 죄수들의 행동이 어떻게 변화할지 분석했다.그 결과, 불화로 인해 긴장이 ... ...
달걀의 누명을 벗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언제적 이야기인데 아직까지 믿고 계세요? 콜레스테롤은 몸에 좋은 HDL과 각종 성인병의
원인
인 LDL로 나뉘어요. 그런데 달걀을 많이 먹으면 HDL 수치가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요. LDL 수치에는 변화가 없고요. 게다가 LDL과 함께 성인병의 주범으로 꼽히는 중성지방을 줄이기도 한답니다. 저희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검사에 대해서 흔쾌히 응했다.)그러나 믿으믿들의 생체 분석 결과 안에서 기도의 기적의
원인
은 규명되지 않았다. 가장 간단한 실험―종이팽이나 바람개비를 돌리게 하는 것에서부터 심지어 원자 하나를 옮기는 것까지 수차례에 걸쳐 시도되었다―에서조차 에너지는 홀연히 나타났고, 물질은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사용하는 식이다.이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어떤 병원성 미생물이
원인
인지 예측해서 거기에 맞는 진단키트를 선택해야 한다. 또 우리가 모르는 병원균은 진단 자체가 아예 불가능하다. 한 환자가 여러 개의 병원균에 감염되는 중복 감염도진단이 어렵다.하지만 메타지노믹스와 DNA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