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신혜인-APBOS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학생들이 꿈을 갖고 미래를
설계
하도록 돕는 데 열정을 쏟고 있다.] 청소년기는 꿈을 탐색하는 시기라고 합니다. 꿈을 찾았다고 다 된 건 아니죠. 이번 호의 학생은 꿈을 준비하다가 생각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아 자신감을 잃은 학생과 영재고 진학에 실패한 ... ...
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긴 환경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어요. 현대적인 연주회장은 잔향시간이 2초 이상 되도록
설계
하고 있죠. 0.8~1초 사이인 일반 강당 건물보다 두 배 이상 긴 시간이에요. 웨스트 민스터 사원도 아마 그런 조건이 더 깊고 풍부한 음악을 만들어냈을 거예요. 악기를 만드는 장인들은 이런 환경에서 어떻게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발견은 우주표준모형을 완공되기도 전에 허물어 버리는, 혹은 처음에 의도했던
설계
도를 전면 수정해야 할지도 모르게 만드는 반증이다. 1980년대 우주론자들은 이론우주모형의 마지막 난제였던 인과성과 균일성 사이의 비일관성을 설명해주는 인플레이션이라는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모른다. 자기 복제 기계는 스스로 증식하는 일 외에 원자를 조립하는 역할도 맡는다.
설계
도만 있다면 어떤 새로운 기계도 직접 만들 수 있다. 마치 모래를 쌓아 고층건물을 짓는 것처럼 허황돼 보이지만, 스스로 복제가 가능해 그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수있기에 문제 없다는 것이 저자의 ... ...
창업의 필수 덕목, 돈과 사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꾸려 개발을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게다가 품질관리인력이나 마케팅을 고려해 분석
설계
를 하는 고급인력을 찾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다. 마이크로소프트처럼 개발자 1인당 2명의 품질관리요원은 아니더라도 소프트웨어 개발자 2명당 1명의 품질관리인력은 필수다. 소프트웨어나 IT 서비스를 ... ...
직접 만드는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롤러코스터가 ‘슝’하고 높은 곳에서 떨어지자 “끼아악~!”하는 비명 소리가 난다. 짜릿함을 선사하는 롤러코스터는 놀이공원에서 최고 인기스타다. 놀이공원마다 더 스릴 ... 수 있다. 모든 재료는 준비됐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자신만의 멋진 롤러코스터를
설계
하고 만들어 보자 ... ...
특목고 입시 기획 ② 특목고, 언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경향이 컸다” 며 “하지만 요즘은 대입을 염두에 두고 고교 입시는 중간 과정으로
설계
하는 편” 이라고 말했다. 내신은 상위 10% 이내에 들어야그런데 특목고에 가려면 내신 성적은 어느 정도여야 할까? 전문가들은 “내신은 학생의 학습습관을 평가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며 “적어도 상위 10%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다 가질 수 있는 공개된 자물쇠다. 물건을 꺼내려면 열쇠를 만들어야 되는데, 자물쇠
설계
도가 있어도 열쇠를 만드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현재 디지털컴퓨터로는 문을 열 수 없다.그런데 1990년대 중반에 벨연구소의 응용수학자 피터 쇼어가 양자컴퓨터로 소인수분해를 쉽게할 수 있는 ... ...
게임, 뇌에 도움 안 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경우 실험 참가자들은 연구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미리 알게 된다”며 “이는 실험
설계
의 핵심 원칙을 어기는 것”이라고 말했다.숙련된 게이머가 초보보다 인지 능력이 뛰어나다는 결과에도 반박했다. 부트 교수는 “게임을 했기 때문에 인지 능력이 좋아졌다는 증거가 없다”며 “원래 뛰어난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성과도 잘 나왔고요.”백 교수는 감정 표현도 잘 하고 빠르다. 한번 방향이 서면 어떻게
설계
해야 할지 바로바로 답이 떠오른다고 한다. 반면 김 교수는 무겁고 길게 본다. 어떤 상황에서도 느긋하고 서두르지 않는다. 두 사람의 그런 성격이 서로를 보완하면서 최고의 파트너가 됐다. 그리고 함께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