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됐을 때 나타나는 증상도 유사해 흔히 서로 비교된다. 그러나 두 바이러스
사이
에는 엄연히 차이가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는 섬모 기관지 상피세포와 폐포 안의 2형 상피세포고,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는 비섬모성 기관지 상피세포와 2형 상피세포라는 차이가 있다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성해 면역시스템의 강도를 조절한다(이렇게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을 통틀어
사이
토카인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대식세포에서 나온 인터류킨-1은 후천 면역반응의 핵심인 T림프구의 반응을 유도하며, 인터류킨-6은 B림프구의 증식과 항체 분비를 돕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단일 세포일 ... ...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답했어요.“그래요? 바람 때문인가? 아휴.”개코 조수가 현관문을 닫으려는 순간, 문틈
사이
로 손 하나가 쑥 들어왔어요.“실례합니다…!” ● 스토리 따라잡기 윌리엄 텔의 화살이 빗나가는 이유는? “앗! 무슨 일이죠?”놀란 개코 조수가 문을 열자 화살통을 어깨에 둘러멘 한 남성이 서 ... ...
[수학뉴스] 코로나19와 세포의 싸움 수학으로 들여다본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수학자 알레시오 피갈리는 2018년 필즈상을 받았죠.니 교수는 “좋은 세포와 나쁜 세포
사이
의 상호작용을 수치화해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4월 29일 자에 실렸습니다.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무작위하게 뒤섞이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 니다. 이때 횟수를 정하는 기준은 7~12회
사이
에서 주관적으로 정합니다. 어떤 값이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느냐에 따라서 7회만 섞어도 충분히 무작위하다고 볼 수도 있고, 12회까지 섞어야 엄밀하게 무작위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그 이유는 판단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NCT 유닛으로 가능한 그룹 수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따지는 경우의 수이기 때문이다. 즉, 3C2는 3명 중 2명을 차례로 뽑는 3×2=6에서 2명
사이
의 자리를 결정하는 2×1=2를 나눠서 구한다. 일반화하면 조합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NCT U로 가능한 멤버 조합 수★이제 18명의 NCT 전체 멤버에서 가능한 유닛의 가짓수를 구해보자. 최소 2명에서 최대 18명까지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MC4 수용체 유전자는 ‘식탐 유발 유전자’라고 불리는데, 시상하부에서 알파 멜라노
사이
트 자극 호르몬(α-MSH)과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현시킨다. MC4 수용체에 변이가 생기면 충동적으로 식욕이 증가한다.그렇다면 비만은 우리 몸에서 어떻게 문제를 일으키는 걸까. 우리 몸에 과도한 양의 ...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민경록 주임도 “대형 맹수인 호랑이를 사육하는 국내 모든 시설은 울타리와 관람객들
사이
에 공간을 둬 호랑이가 사람과 직접 접촉할 수 없도록 짓는다”며 “호랑이를 만지거나 호랑이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경우 호랑이를 자극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생 고양잇과 동물들이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이직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처음 미국에 왔을 때 작은 제약 벤처들이 근 10년
사이
에 이름을 알릴 정도로 크게 성장하는 경우를 여러 번 봤는데 이 점이 매력적이었어요. 큰 회사에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는 있지만 여러 분야를 두루 배우기는 힘들다고 생각도 했고요. 그래서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대학들이 온라인 강의를 진행해 학생과 교수
사이
의 거리가 더 멀어졌다. 사제 간에 친밀감이 없다는 점에서 삭막해 보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수평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데 일조한다. 예를 들어 학과에서 진행하는 축구 시합에서 교수들이 학생들과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