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타낼 수 있는 수'는 서로 구별된다. 0.75와 같은 소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다.
분자
혹은 분모가 음수일 때는 분수라고 하지 않고 '분수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라고 한다. 유리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든지 분수의 골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초등학교 6학년 '분수와 소수' 단원과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작은 분수를 말한다.기약분수:
분자
와 분모의 공통인 약수가 1뿐인 분수를 말한다.약분:
분자
와 분모의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분수를 간단히 표현한 것이다.특별인터뷰 마술사 선생님 김택수재미있는 수학마술을 보여 주신 김택수 선생님! 어떤 계기로 마술에 빠져들게 됐는지 선생님에 대한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당뇨병 환자에게 뉴질랜드 생명공학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LCT)는 최근 돼지 췌도를 고
분자
로 이뤄진 캡슐에 싸서 복강에 이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람의 면역세포와 돼지 췌도의 접촉을 최소화해 면역거부반응을 줄이는 방법이다. 캡슐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영양분과 산소는 들어가고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잘 인식하게 하기 위해 넣어주는 물질인데, 알루미늄 염 같은 무기물, 스쿠알렌 같은 유기
분자
, 때로는 세포막의 조각이 쓰이기도 한다.백신 원료에 항원보강제를 넣으면 면역유발 능력이 2~4배 증가하기 때문에 그만큼 더 많은 양의 백신을 만드는 효과가 생긴다. 다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 ...
첨단 연구장비 활용과 개발 지원하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분광기’, X선을 쏴 시료를 분석하는 ‘X선 형광분석기’, 원자핵의 공명 상태를 관측해
분자
의 구조와 화학반응을 알아내는 ‘핵자기 공명 분광기’ 등이 있다.서울대병원에 있는 4차원 뇌기능 영상장비 ‘뇌자도(MEG)’도 이런 고가 장비 중 하나로 지난 2년 동안 고가특수연구기기지원사업을 통해 ... ...
공약수 맛보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방법인 ‘유클리드의 호제법’은 고등학교 심화과정에서 배운다.분수에서 분모와
분자
사이에 공약수가 있다면 이 공약수로
분자
, 분모를 나누어서 좀 더 간단한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즉 호주밀은 미국밀에 비해 α-아밀라아제라는 녹말분해효소가 덜 들어 있다. 따라서 녹말
분자
의 길이가 더 길어 면의 탄력성이 큰 것. 또 밀가루색이 누렇게 변하게 만드는 폴리페놀옥시다제라는 효소도 적어 밀가루 색이 더 밝다. 김 연구원은 “밀의품종이나 재배환경에 따라 밀가루의 특성이 ... ...
구름 탄생의 기원 ‘우주선’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물방울이 에어로졸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대기 중의 물방울에 우주선이 충돌하면 물
분자
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 이온화되는데, 이온화된 물방울이 주변 물방울을 당겨 구름을 만드는 씨앗이 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포부시 감소 현상이 나타나면 우주선이 감소해 구름도 잘 형성되지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얻기가 무척 어렵다.이번 결과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한 크기인 나노렌즈를
분자
들의 자기조립 현상으로 합성해 기하광학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새로운 개념의 물리 현상을 발견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연구를 이끈 포스텍 김광수 교수는 “논문이 나가고 난 뒤 세계 곳곳에서 ... ...
전력 생산하는 인공 나뭇잎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일어나는 증산 작용이다. 물이 잎의 기공에서 대기 중으로 증발하면서 아래에 있는 물
분자
를 끌어올리는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연구팀은 미세한 유리관으로 구성된 물관을 가진 인공 나뭇잎을 만들었다. 인공 나뭇잎 끝에 연결된 유리관은 식물의 기공처럼 열려 있어 태양광을 받자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