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보관
저장
보전
보유
보호
방부
d라이브러리
"
보존
"(으)로 총 1,899건 검색되었습니다.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고우며 이 안에 박혀 있는 화석의 세밀한 부분은 근육으로 된 막의 윤곽까지도 훌륭하게
보존
돼 있다.1971년 소련 과학아카데미 고생물학회 소속 A. G. 샤로프(Sharov) 박사가 소르데스 필로서스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특이한 화석에 대한 다른 학자들의 연구는 이후로도 계속되었다.영국 ... ...
물리- 분자, 질량 작을수록 빨리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고체로 변하고 액체나 고체에서는 샤를의 법칙을 적용할수 없다. 온도가 변화해도 질량
보존
의 법칙은 여전히 유효하다.샤를의 법칙은 압력이 일정하다는 조건에서만 성립한다.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따라서도 변하기 때문인데 압력이 높을수록 부피는 작아진다. 즉 압력이 두배가 되면 부피는 ... ...
화학 - 금속의 산화 방지 효과적 방법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들 수 있다. 아연은 철보다 산화되기 쉬운 금속이므로 아연이 산화되는 동안에는 철이
보존
된다.두가지 방식에는 모두 장단점이 있다. 주석 도금의 경우 주석이 산화되지 않는 한 내부의 철은 산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도금에 흠이 약간만 생겨도 내부의 철은 도금 이전보다 빠른 속도로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성충이 된다. 그런데 용화해서 10시간 이내인 번데기의 뇌를 제거하면 25℃로 40일 이상
보존
해도 성충이 되지 않는 번데기가 된다. 이 번데기에 유충이나 다른 번데기의 뇌를 이식하면 그후 16-25일 만에 우화한다.이것으로 번데기가 성충이 되는 과정에서 뇌의 내분비물의 작용과 그 시기를 알 수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에너지를 외부와 교환하는 열린 계에 적용해야 한다.생명체는 열역학 제 1법칙인 에너지
보존
의 법칙보다는 제 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에 대항해서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생명체에는 에너지 획득을 위한 효율적인 게임기구가 주어져 있어야 한다.일반적으로 생물은 기계보다 에너지 이동에서 ... ...
생물- 동물 골격 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자연계에는 약 1백50만 종의 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그들을 자세히 관찰하는 데는 공간적 시간적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이 함께 관찰하기도 힘 ... 넣어두면 벌레가 생기는 것을 막아줍니다.자, 어떻습니까? 살아 있는 상태를 그대로
보존
한 표본이 금방이라도 움직일 것 같지요 ... ...
물리- 태양계 운동 지배하는 뉴턴·케플러 법칙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합을 역학적 에너지라고 하는데 엔진없이 움직이는 물체는 그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높은 곳은 위치에너지가 큰 대신 운동에너지가 작아야 하고 낮은 곳은 위치 에너지가 작은 대신 운동에너지가 커야 한다.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곳을 지날 때는 태양의 중력에 대한 ... ...
녹색과학 엔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초보적 고전인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의 법칙, 제2법칙은 엔트로피 법칙이다. 엔트로피 법칙은 물질과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바뀔 뿐임을 천명한다. 이를 현대문명에 적용하면 지구는 끝없이 증가하는 엔트로피 하에서 갈수록 무질서해지고 사용가능한 에너지가 사라지는 방향으로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엎지르기는 쉬워도 주워담기는 어렵다'열역학 제 1법칙은 에너지
보존
의 법칙이다. 우주의 물질과 에너지 총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없고, 오직 그 형태만이 바뀐다는 내용이다.열역학 제 2법칙, 즉 엔트로피 법칙은 물질과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바뀔 수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백두산의 고산지대에 피는 꽃들은 식물체에 비해 꽃이 크고 또한 꽃색깔이 다양하고 화려해 장관을 이룬다.세계 생물권
보존
지구의 하나인 백두산은 한반도 북쪽 북위 42°7′ ... 백두산의 존재가치를 높이고 학술적인 연구도장 교육도장 그리고 관광명소로 오래 잘
보존
해야 할 곳이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