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없다. 우리 눈에는 다르게 보이지만 같은 지문일 수도 있고,
반대
로 매우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지문일 수도 있다. 또 사람마다 ‘같다’고 느끼는 정도가 매우 다양해서 일정한 기준을 세워 본인 여부를 판단하기도 어렵다.하지만 수학을 활용하면 정확하고 일관되게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밑에 있는 다람쥐에게 먹이는 게임으로 만들 수 있어요”라고 답했어요. 교수님은 “
반대
로 위에서 떨어지는 토끼를 밑에서 어슬렁거리는 늑대를 피해 대피시키는 게임으로도 만들 수 있다”고 말씀하셨어요. 그리고 계속 새로운 발상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이셨지요.게임 개발자로 보낸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들어오는 빛은 포물면에 반사된 뒤 모두 초점으로 향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반대
로 포물선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돼 포물선의 축에 평행하게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과학자, 수학자가 정리하고 발전시켜 지금은 우주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그 순간 자동차의 속도와 같습니다. 이 속도를 구하는 과정이 바로 미분입니다. 그럼
반대
로 자동차의 속도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어떨까요? 시간-속도 그래프에서 그래프 아래 면적을 모두 더하면 자동차가 달린 거리가 나옵니다. 이건 적분입니다. 미분과 적분이 아주 가까운 사이라는 걸 알 수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몸통에서 왼쪽 위로 올라가는 나선을 따라 눈을 파내지요. 그런데 경우에 따라
반대
편 위로 올라가는 나선을 파내기도 해요. 그렇다면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도려내는 경우에 파인애플의 눈의 배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파인애플 눈의 배열에서는 피보나치 수열을 찾을 수 있어요.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 없다. 이렇게 전사가 어려운 빡빡한 염색체를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이라고 부른다.
반대
로 뉴클레오솜 사이에 간격이 충분해 전사가 용이한 상태는 진정염색질(euchromatin)이라고 한다.유전체 수준에서 전사를 조절하려면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 ...
페이스북 얼굴인식 기술, 유럽선 “허용 못 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강화하기 위해 개발됐다. 그러나 유럽은 얼굴인식이 개인 정보를 침해할 수 있다며
반대
했다. 리처드 앨런 페이스북 유럽정책 부문 대표는 지난 6월 19일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얼굴인식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유럽에서 앱을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특정한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 DNA가 아닌 알 수 없는 물질이 참여한다고 주장했다.
반대
로 어떤 이들은 생식세포의 DNA 일부가 없어지면서 피부세포로 남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와딩턴의 추측이 맞으려면 보통 세포와 생식세포의 DNA가 똑같다는 것이 증명돼야 했다. 이것은 영국의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신호는 두 번째 봄이 찾아와도 다시 예전처럼 돌아가지 않고 FLC 발현은 낮게 유지된다.
반대
로 개화를 촉진하는 유전자는 낮이 길어지면 조금씩 발현이 늘어나 결국엔 꽃이 핀다.식물 기억의 또 다른 예는 면역이다. 사람의 면역세포는 한번 침입한 병원균을 B세포에 기억해두기 때문에 2차 침입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실제로는 사람을 잔인하게 죽이는 장면으로 가득 찬 스릴러 소설을 쓴다. 자신의 내면과
반대
로 행동하는 것이다. 장재열은 아주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우리는 모두 서로 다른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반동형성 이론에 따르면 두려움이 큰 사람은 상대적으로 공포영화를 선호하게 된다.최명기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