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시범운영 중이다.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아카데미에서는 ODV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한 뒤 조작하는 방법과 해(海)봄 교실 활용법, JOISS의 해양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바꿔보는 방법을 교육한다.해양데이터 리터러시를 학교 현장에서 원활히 활용하기 위해 지난 8월 4일부터 6일까지, 그리고 14일까지 ... ...
- 어과동이 벌써 400호?! 5월은 파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확인한다. ➋QR 또는 초대코드로 어과동 마을에 들어온다. ➌미션을 확인한 뒤 내 취향대로 마을을 꾸민다. ➍특별 이벤트에 참여한다. ※추후 공지 특별 이벤트➋귀욤 폭발! 온라인 수업 & 톡 배경화면 다운 받으세요!온라인 수업 때 귀욤 폭발 배경 이미지를 뽐내고 싶나요? 그렇다면 ... ...
- [가상 인터뷰] 혜성이 털어내는 '우주 비듬'이 5200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끌려 대기로 떨어지면 유성이 되지. 그런데 4월 15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장 뒤프라트 박사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혜성에서 나온 미세한 운석들이 지금까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이 지구로 떨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지구에 운석이 많이 떨어지고 있다고?연구팀은 약 2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뜨거운 국제 분쟁 해결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대해선 따로 규정이 없다”며, “미국은 핵잠수함에서 나오는 핵 폐기물질을 처리한 뒤 육지에서 바다로 버리는 등 여러 면에서 일본과 이해관계가 같아, 지지 의사를 밝혔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독자가 묻는다! 공은서(itsoo1701) 왜 일본 마음대로 바다로 원전 오염수를 버릴 수 ... ...
- 나만의 트랙에서 쌩쌩!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나만의 트랙 완성! 자, 이제 한번 굴려 볼까요? 출발점 타일에 구슬 ‘액션 스톤’을 올린 뒤, 시작 버튼을 누르자 액션 스톤이 도르르 굴러가기 시작했어요. 트랙을 따라 천천히 굴러가던 액션 스톤은 금세 속도가 붙으며 쌩쌩 달렸죠. 혹시 중간에 멈추지는 않을까, 아니면 트랙 밖으로 튕겨 나가진 ...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불의 제왕 섭섭박사! 열을 다스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잰다는 걸까요? ➊ 물감을 푼 물을 유리병에 붓는다.➋ 고무찰흙으로 빨대를 감싼 뒤 다른 유리병에 꽂고, 이 병을 따뜻한 물에 담근다.➌ 데운 유리병(➋)을 물감을 푼 유리병(➊)에 거꾸로 꽂는다.➍ 데운 유리병 위에 차가운 수건을 올려 온도가 내려가면 빨대 속 액체가 어떻게 되는지 ... ...
- [기획] 2022 개정 교육과정 타임라인수학동아 l2021년 10호
-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할 인재를 키운다는 데 주안점이 있습니다. 2024년부터 적용되는 만큼 적어도 3년 뒤부터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은 달라지는 교육환경에서 새로운 교과서를 만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정이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 ...
- [수학기자의 책장] 숫자로 찾아보자, 사실 뒤에 숨은 진실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진실’.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파악조차 어려울 만큼 정보가 넘쳐나는 이 세상에서 진실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개념입니다. 막연한 짐작과 추측, 검증되지 않은 선입견에 기대서 세상을 바라봐서는 안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기준으로 등불 삼아야 수많은 정보 속에서 진실을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서서히 차례로 사라지는 장면을 촬영.(왼쪽) 밤하늘 매우 밝은 빛이 깜빡임.(가운데) 1분 뒤 잠시 사라졌다가 왼쪽에서 세 개의 빛이 수평 배열로 출현.(오른쪽) 주간 촬영 사진과 대조한 결과, 산 또는 고지대의 조명은 아님을 확인. 분석1. 실제 하늘에 떠 있는 발광물체일 가능성야간 촬영물의 경우 ... ...
- [한페이지 뉴스] 선사시대 영장류도 당 중독?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등 종류도 다양한 달콤한 음식의 유혹에 우리는 쉽게 무너지곤 한다. 약간의 죄책감은 뒤로 한 채로 말이다.이런 달콤함을 향한 인류의 갈망은 어쩌면 오래된 본능이었는지도 모른다. 초기 에오세(약 5400만 년 전)에 살았던 선사시대 영장류(Microsyops latidens)의 치아 화석에서도 충치의 증거가 발견됐기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