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택
수입
제창
주입
d라이브러리
"
도입
"(으)로 총 2,4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침반, 화약과 함께 인류의 4대 발명품 중 하나다. 이 인쇄기술이 나노세계에 처음으로
도입
된 것은 1993년 미국의 화학자 쿠메르와 화이트사이즈에 의해서다. 두 연구자는 알카네시올(alkanethiol)이라는 성분의 잉크를 금으로 코팅된 표면에 묻혔을 때 단분자층을 형성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능을 이용해 지적인 행동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진화 알고리즘에 강화학습을
도입
하면 시스템은 한층 더 ‘똑똑’해진다. 제어장치 내에 로봇의 행동결과에 따라 ‘보상’이나 ‘벌칙’을 가하는 규칙을 심어놓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로봇은 보상을 많이 받는 쪽으로 자신의 행동규칙을 갱신해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갖고 있다. 미국의 나노페이즈 테크놀러지사가 나노분말을 처음으로 자외선 차단제에
도입
했다.올해는 나노입자가 쓰인 미백 화장품이나 비타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도 등장했다. 예를 들어 미백 화장품에 쓰이는 레티놀을 나노입자로 둘러싸게 해서, 이 성분을 나노 캡슐화한다. 그러면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인간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의지’다. 인간은 집단을 구성하고 적당한 돌연변이 변수를
도입
하며 돌연변이된 개체 중 조건에 적합한 인자를 선택케 하는 과정만 프로그램밍한다. 나머지 과정은 생물의 진화가 그렇듯 프로그램 내에서 자율적으로 이뤄진다. 돌연변이가 생기면 환경에 적합한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구성하는 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에 최교수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팀 구성법을
도입
했다. 바로 ‘인성에 따른 팀 구성법’이다.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어떤 이는 전략가로서 적당하고 다른 이는 개발자로서 적당하다. 또한 시장 분석가도 있어야하며 팀원 간의 갈등을 중재할 중재자도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위해서는 좀더 시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나노전자소자가
도입
되는 시기는 앞으로 10년 후로 내다보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12월 특허청 나노기술연구회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향후 5-10년 후에 실용화 또는 산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나노바이오 기술은 인공피부,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완벽하게 묘사하기는 불가능하다. 시뮬레이션이란 어느 정도의 부정확성을 감안하고
도입
하는 것이다. 홍수와 지진 등 실제로 재현하기 어려운 현상이라든가, 비용이 많이 드는 실험에 대해 어느 정도의 부정확성을 감수하고라도 극단적 경우에 대한 결과와 어떤 변수에 대한 영향성 등을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지석영 사례는 한국 근현대의학사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개화기 때부터 서양의학을
도입
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조선 정부와 조선인에 의해서 이뤄졌다. 일본이나 미국 같은 열강의 관계 속에서 말이다. 일제시대에는 비록 선진적인 병원이 세워지고, 일본인 의사가 대거 활동하기는 했지만,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사실이 밝혀졌다.지질학자들은 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균일설’이론을
도입
한다. 균일설이란 지질의 변화를 지구 내부에 균일하게 작용하는 어떤 힘으로 설명하는 지질학 이론으로, 대홍수설의 많은 모순을 해결할 수 있었다. 고생대와 중생대의 화석이 시간순으로 쌓이는 이유를 설명할 수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야생 식물로부터 환경 극복 유전자를 발굴해 작물에
도입
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염분이 있는 경작지에서 식물이 자라나도록 하는 유전자가 발굴됐다. 전세계 작물경작지의 약 1/3은 고농도 소금기 때문에 작물을 경작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