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때에도 뇌 주름 연구가 도움이 된다. 최근 미국과 영국 공동 연구팀은 대뇌 피질을 180개 영역으로 나눈 다음, 각각의 기능을 정리한 뇌 지도를 완성했다(과학동아 9월호 참조). 이지도는 기존에 만들어진 뇌 지도보다 주름 하나하나의 특성이 훨씬 정밀하게 분석돼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자에 대해 궁금해진다면? 기자는 가장 먼저 위키백과에 적힌 내용을 살펴본다.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 Much Needed Gap Is Finally Found’▼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자가 사는 법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데이터로 따져보기로 했다. 최영준 기자와 우아영 기자가 연구비 지원 형태, 연구자의 공동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해 봤다. 또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영국과 독일 연구소를 직접 찾아가고, 정책 연구자와 노벨상 수상자들을 탐문해 대안을 물어봤다.결과? 성급함부터 버리자. 결과에 대한 목마름을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든다는 목표로세계적인 뇌과학 연구자들이 지난 2005년 출범시킨 공동 연구다.이번 여름휴가는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예전에 가봤던 곳을 잊지 못해 또 가보셨나요, 아니면 새로운 곳을 향해 떠나셨나요. 저는 이번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훌쩍 떠나갔다 왔답니다. 한 번도 ... ...
- [과학뉴스] 얼음물 샤워, 과학적인 성과 내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끌어냈다.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의대 신경학과 바우터르 반 리나 연구원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아이스버킷 챌린지 기부금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C21orf2’ 등 ALS를 유발하는 원인 유전자 3개를 찾아냈다고 ‘네이처 제네틱스’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ALS 환자의 약 10%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좋은 예다.집단주의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집단주의는 개인이 짊어져야 할 위험을 공동이 나눠 가지는 체제라고 설명하는 학자도 있다.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사업자금을 빌려 준다거나, 빚을 대신 갚아주는 일이 흔하다. 개인이 (특히 금전적으로) 실패한 경우 그 책임을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여러 번 봤어요. 이렇게 아이디어를 바로 이야기하는 자세는 공동 연구를 할 때 굉장한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말을 안 하면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거든요.” 소중한 두 역할, 수학자와 엄마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 실력을 비교하는 기사를 많이 접한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있었다고 댓글을 답니다. 두 사람이 서로의 증명을 비교해 보니 너무 비슷해서 두 사람은 공동 논문을 쓰기로 결정하고 결과를 정리해서 5월 30일 아카이브에 올립니다. 이 모든 것이 2016년 5월 한 달 동안 있었던 일이지요. 신형 무기의 정체는 대학생도 아는 수학대체 5월 5일 올라온 논문에는 어떤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위스연구소 박성진 연구원과 케빈 파커 교수, 최정우 서강대 교수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쥐의 심근세포를 이용해 헤엄치는 가오리를 본뜬 소프트로봇을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7월 8일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파커 교수는 딸과 함께 아쿠아리움에 갔다가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 옮기기’ 성공했지만, 진정한 힐베르트 호텔은 아냐이번에 논문을 발표한 국제공동연구팀은 각운동량의 양자수를 늘리고도 중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제시했고, 실제로 소용돌이 빛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이 소용돌이 빛이라는 생소한 개념을 사용한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