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움직입니다. 구의 반지름이 일정하듯, 달이 지평선에 있을 때나 머리 꼭대기에 있을 때나 거리는 같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천구를 사발처럼 납작하게 인식한다고 해요. 지평선에 가까운 하늘은 멀고, 머리 꼭대기의 하늘은 가깝다고 생각하는 거죠. 이것은 ‘폰조 착시’를 일으킵니다. 즉 멀다고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전자의 밀도가 높아 빛이 자유롭게 나아가지 못한다.우주가 팽창하면서 전자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멀어지는 시기가 오면 빛은 전 우주 공간을 거쳐 동시에 복사(Radiation)하게 된다. 이 빛을 우주배경복사라 한다. 이 시기는 대략 빅뱅으로부터 30만 년 이후로, 다시 말해 지금으로부터 137억 년 전에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드론을 2km 떨어진 거리까지도 날릴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호수에 물이 흘러드는 것처럼.다양하고 다채로우면서도 질서 있었다. 먼 옛날의 종로 거리에서처럼. 자신이 지금 지키는 것이 고귀하고 자랑스러운 것이라 믿는 사람들만이, 삶을 축제로 여기리라 다짐하는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생명력으로 넘쳐났다.그릇이 없으면 물은 어디에 담길까. 담길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들어갔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시야각이 100°로 사람 눈(120°)과 유사하고 별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도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동시에 잘 볼 수 있는 렌즈”라고 설명했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더 생생하고 더 진짜같은 경험을 원한다"며 "이 지점에서 새로운 시장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찾을 수 있지요. 나침반의 N극은 언제나 북쪽을, S극은 남쪽을 향하거든요.그런데 아주 먼 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나 물고기도 자석을 이용해서 방향을 알아낸다고 해요. 바로 몸속에 있는 ‘생체자석’을 이용한답니다. 비둘기는 생체자석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동물이에요. 비둘기는 머리뼈와 뇌 ...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다리가 끊어지고, 도로가 망가져 고립된 경우가 많아요. 평소대로라면 1시간이면 갈 거리를 서너 시간에 걸쳐 가야 하지요. 일본 기업 나가레도로는 구글 위기대응팀의 ‘자동차 통행 실적 정보 지도’와 야후의 ‘도로 통행 확인 지도’를 이용해 자원봉사자가 피해 지역을 빨리 찾아갈 수 있는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시간 개념이 없다면 애초에 역설적인 문제예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를 생각해야지요. 10초 동안 아킬레스가 100m 이동할 때 거북은 10m 앞서나가고 있겠지요. 이 10m는 아킬레스가 1초 만에 따라잡을 수 있어요. 그동안 거북은 1m 다시 앞서겠네요. 그리고 아킬레스가 0.1초 만에 다시 1m를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개척(?)했다. 연구 결과, 실제로 몸의 방향이 바뀌면 사람이 인식하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변했다(시각연구, 2006, 46(23), 3961-76).물리학상동물들이 어떤 색상을 선호하는지 연구한 헝가리,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연구진에게 돌아갔다. 헝가리 에오츠보스대 물리학연구소 바이오물리학과 가보르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마리가 유독 눈에 띄었다. 다른 라쿤들이 사람들과 어울리는 반면 그 라쿤은 벽에 붙어 2m 거리를 반복적으로 오갔다. ‘정형행동’이었다. 정형행동은 동물이 무의미하게 반복하는 이상 행동으로, 적절치 못한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주 원인으로 꼽힌다. 정형행동이 동물 복지의 척도 가운데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