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범인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05
때 여기서 만나기로 하고 건너편 미술관에서 헤어졌습니다.다잡아 : 미술관은 여기서
거리
가 얼마나 되지요? 그리고 피트 씨는 몇 시에 그곳에서 출발하셨나요?피트 : 미술관에서 호텔까지는 제 걸음으로는 20분이 걸리고, 졸리의 걸음으로는 30분이 걸립니다. 그런데 졸리가 저보다 5분 먼저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05
Prologue_ 시계를 들여다보며 늦었다고 허둥대는 토끼를 따라 굴 속으로 내려갔다가 신비한 모험을 겪은 앨리스. 그 뒤 앨리스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앨리스 ... 게 아닌가요! 눈을 뜬 앨리스의 곁에서는 조금 전에 함께 놀던 아기고양이가 가르릉
거리
고 있습니다. 또 한바탕 꿈을 꾼 것일까요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설치된 반사경에 레이저빔을 쏴 반사된 빛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시로 달까지의
거리
를 재고 있는데, 오차가 15cm 정도에 불과하다.멀리 떨어진 물체의 위치를 탐지할 때는 레이저 레이더, 즉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레이더가 마이크로파(파장 1~1000mm)나 밀리미터파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05
입구는 세 갈래 길로 나뉜다. 가장 빨리 다녀올 수 있는 대성당 협곡은 걸어서 1시간
거리
에 있다. 협곡을 향해 걷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미로에 들어온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협곡 위로 보이는 청명한 하늘과 협곡 아래 숨어 있는 물웅덩이가 묘한 대비를 이룬다. 호주 원주민의 영토인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물론 미생물연료전지에서 획득할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는 현재 대체에너지의 개념과는
거리
가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에너지 위기를 직접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에너지 위기 해결과 대체에너지 개발에 있어 포괄적인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즉 ... ...
실내에서 즐기는 포뮬러원(F1) 드래그레이스
과학동아
l
201005
그랑프리’가 열린다. F1 레이스의 박진감 넘치는 스피드를 맛볼 수 있는 드래그레이스(단
거리
직선 자동차 경주) 키트가 나왔다. 자동차 모양을 직접 디자인하고 오동나무를 깎아 만든 뒤, 길이가 10m인 트랙에서 누가 만든 모형 자동차가 빨리 달리는지 겨룬다. 평소 자동차 경주에 관심이 있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국내에서는 약 1200마리를 포획해 분석한 결과 다행히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특히 장
거리
를 날아 서식환경이 다른 지역을 경험하는 철새들은 기후 변화나 해당지역의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바로미터’나 다름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나라별 환경을 평가하는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05
이상적이지는 않다.이상적인 투명망토가 등장하기까지는 심각한 장애물부터 자잘한 골칫
거리
까지 여러 장벽들로 가로막혀 있다. 과연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를 기대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다. 하지만 누가 알겠는가. 어느 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튀어나와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를 구현해줄지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05
순간이동시킬 수 있다. 워프가 공간을 휘어서 현재 있는 장소와 이동하려는 장소의
거리
를 좁혀 이동하는 방법이라면 영화 ‘스타트렉’에서 등장하는 순간이동은 물질의 양자 정보를 이동하려는 장소에 전송해서 다시 재구성해내는 복제 방식의 이동기술이다. 프로토스에서는 차원 분광기(Warp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파멜라 팔렛 교수팀은 눈과 입 사이의 길이가 전체 얼굴 길이의 36%, 두눈동자의
거리
가 얼굴 폭의 46%일 때 가장 아름답게 느낀다는 사실을 밝혀 냈다. 그 이유는 균형을 좋아하는 우리의 뇌에 있다. 뇌는 우뇌와 좌뇌로 나누어져 있는데, 오른쪽 뇌가 왼쪽, 왼쪽 뇌가 오른쪽 시각을 담당한다. 이 때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