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스페셜
"
태양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민간 우주정거장 만드는 미 액시엄스페이스 회장 "한국 제2우주인 기업 주도로 만들자"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2026년에는 모듈을 하나 더 쏘아올려 우주 연구소와 제조 시설 역할을 맡긴다. 2027년에는
태양
전지판이 달린 파워 타워를 추가해 ISS와 동일한 전략을 생산하도록 한다. 액시엄 스페이스는 민간 우주정거장 건설과 운영에 현재까지 7억 2200만달러(약9191억원)를 투자 받았다. 향후 투자금을 2배 이상 ... ...
이집트 사막에 떨어진 운석 '히파티아' 알고 보니 초신성 폭발 잔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먼지가 완전히 혼합되지 않은 채
태양
계에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우리
태양
계를 구성하는 먼지가 완전히 섞였다는 기존 견해와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행성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이카루스’에 발표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X선 불덩어리를 만드는 신성 폭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4
이른다. 별이 새로 생긴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신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반면
태양
보다 수십배 무거운 별은 수명이 다하면 광도가 신성보다 수십배 밝은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다. 신성 폭발은 백색왜성 표면에 수소 가스가 축적되면서 수소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며 발생한다. 표면이 급속히 ... ...
M87 블랙홀에 이어 관측된 우리은하 블랙홀, 왜 똑같은 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13
처녀자리 은하(M87)의 중심에 있는 M87 블랙홀은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질량도
태양
의 65억 배로 분석된다. 궁수자리A보다 거리가 2000배 먼 반면 질량도 1600배 크다. 두 블랙홀이 속한 은하도 전혀 다르다. 궁수자리 A 블랙홀이 속한 우리 은하는 가스가 많은 나선형 은하로 지름이 수만 ... ...
고성능 하이브리드
태양
전지 개발자 이정용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에너지에 2019년 11월 게재됐다. 이 교수는 “공학의 본질은 기술사업화”라며 “개발한
태양
전지는 모바일 기기와 사물인터넷(IoT), 드론 등 4차 산업의 차세대 동력원으로 활용이 기대된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 ...
우리은하 블랙홀 관측결과 나오나...12일 발표에 천문학계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의 질량은
태양
의 65억배로 사건지평선 크기가 약 400억㎞인데 비해 궁수자리 A*의 질량은
태양
의 400만배로 사건지평선 크기는 그보다 1600분의 1 수준인 약 2500만㎞에 머문다. 블랙홀 사건지평선의 크기가 작으면 주변 빛이 굉장히 빠르게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여 관측이 훨씬 어렵다. ... ...
이번주 전국 햇볕 따가운데 '쌀쌀'…일부 지역선 소나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역시 서울 19도, 대전과 부산 20도에 그치는 등 평년보다 낮은 온도를 보였다. 봄철
태양
고도가 높아지면서 강한 햇볕의 영향으로 서울을 비롯한 일부 수도권과 충청권,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자외선 지수 ‘매우 높음’이 예보됐다. 기상청은 “햇볕이 가장 강한 시간대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 ... ...
우주날씨 관측위성 '도요샛' 금년 발사 어려울 듯…아리랑6호·차중 2호도 점점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가능해 우주 플라즈마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등 세세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태양
풍 입자와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이해될 뿐 아직 정확히 메커니즘이 밝혀지지 않은 우주 날씨 변화의 비밀을 푸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발사가 계속 밀리고 있다. ... ...
헬기에서 떨어지는 로켓 낚아채 재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탑재체를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이번 임무에서 일렉트론의 주요 목표는 고도 520km
태양
동기궤도에 6개 기업의 초소형위성 34개를 올리는 동시에 1단 부스터를 회수하는 것이다. 우주에서는 핀란드 오로라샛의 우주쓰레기 제거기술 시연위성 오로라샛-1 등을 배치하는 한편 지상에서는 1단 ... ...
[과기원은 지금]GIST, 500㎠ 대면적 유기
태양
전지 필름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9
제작한 모듈 필름은 528㎠ 크기에서 7.67%의 효율을 나타냈다. 인쇄 기반 유연 유기
태양
전지 모듈 필름으로 500㎠ 이상의 대면적 필름이 학계에 보고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벤스드 에너지재료’ 지난 16일자에 게재됐다. ■문제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