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언장담
장담
함성
고함
대성
호언
자랑
스페셜
"
큰소리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브라질에서 GM모기를 방사하고 있는 옥시텍 연구원. Oxitec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올해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연구 13선을 소개하면서 ‘유전자 변형 모기 방사’를 꼽았다.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서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가 지난해 GM 모기의 방사를 승인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에서 GM 모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살라미스 해전에서 열린 테르모필레 전투의 모습을 그린 영화 '300' 캡쳐. 네이버영화 제공 탈레스가 활동했던 밀레토스에서 에게 해를 건너 동쪽으로 건너가면 지금의 그리스가 나온다. 그리스에서는 페르시아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 등을 겪으며 정치적인 부침을 많이 ... ...
'아재개그'를 향한 가식적 웃음도 재미를 느끼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소피 스콧 런던왕립대 교수 연구팀은 '아재 개그'와 같이 재미없는 농담 뒤에도 웃음이 따라오면 실제로 사람들이 더 재미있게 느끼게 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가식적인 웃음보다는 자연스러운 웃음이 효과가 더 좋았다. 직장 상사나 주변인의 소위 ‘아재 개그’를 듣고 웃을까 말까를 망설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사람은 세 살이 되면 슬슬 나와 다른 타인의 존재를 의식하기 시작하고 타인의 입장이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리게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날때부터 선할까, 아니면 백지로 태어난 후 선함은 오로지 배움과 훈련을 통해서만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일까? 공감에는 크게 두 가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
2019.05.22
재생시키면 시끄러운 기계음이 나오는데, 드라이버를 이리저리 돌리다 보면 가장
큰소리
가 나올 때가 있다. 여기가 바로 정확한 위치다. 순간 도파민 과다 분비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기다리던 음악의 후렴구가 들릴 때 느껴지는 행복감과 마찬가지다. 요즘 게임에 중독성이 있네 마네하지만 당시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20일 서울 KIST에서 개최된 국제신경공학컨퍼런스에서 최신 신경공학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뇌를 측정하고 자극을 가하는 신경공학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 등 뇌과학 발전에 정말 중요합니다. 신경공학의 발달이 뇌과학 발달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 ...
[사이언스N사피엔스]어느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
2019.05.16
마음의 준비가 돼 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1국 기보를 보니 그게 전혀 아니었다. 그렇게
큰소리
치던 나도 전혀 새로운 시대에 대한 준비가 돼 있지 않았다. 문득 내가 박사학위를 받은 때가 2001년 2월이라는 사실이 새삼 무겁게 다가왔다. 그러니까 나는 모든 고등교육을 20세기에 끝낸 셈이다. 그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알파고의 공습
2019.05.02
2016년 3월부터 건국대에 새로 생긴 상허교양대학(상허는 설립자 유석창 박사의 호)에서 교양과학 과목들을 가르치게 됐다. 과목 중에 '과학사'와 '과학의 원리'는 수강정원 80명의 대형 강의이고 '과학기술 글쓰기'는 35명 정원의 중소규모 강의다. 나는 입자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이지만 십여 년 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을 할 때 음악 틀면 효과적일까
2019.04.27
공부할 때 같은 음악을 들어도 외향적/내향적 등의 차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부 할 때는 어떤 음악을 틀고 운동 할 때는 어떤 걸 틀면 집중이 잘 된다고 하는 소위 ‘노동요’들이 있다. 음악을 들으면 정말 집중이 잘 되고 일의 능률이 오를까? 199 ... ...
[Science토크] 지구상 가장 빠른 '탈 것'들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블러드하운드 프로젝트에 몰린 사람달. 위키미디어 제공. 해외 여행을 할 때 주로 타는 항공기의 순항 속도는 평균 시속 900km다. 소리의 속도를 나타내는 음속은 초당 340m로 보통 ‘마하’라는 단위를 쓴다. km로 환산하면 음속은 시속 1224km다. 음속을 돌파하는 전투기와는 달리 민간 항공기는 1마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