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스페셜
"
전기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
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먹이를 PHA로 바꾸므로 그 자체로 이산화탄소를 소모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포도당 대신
전기
화학 셀에서 만든 C2를 먹고 PHA를 충분히 만드는 미생물이 있으면 어떨까. ● 전극 용액과 배양액 하나로 연구자들은 PHA 합성을 비롯해 각종 화합물을 만드는 세포 공장으로 널리 쓰이는 미생물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
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효과는 꽤 커 EC와 NaI를 쓴 경우 어는점 내림 현상으로 28도의 온도 차이를 구현했다. 즉
전기
장을 가해 이온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EC의 어는점은 35도이지만 스위치를 꺼 NaI가 유입돼 섞인 상태에서는 어는점 내림으로 6.4도까지 내려갔다. EC 결정이 녹으며 흡수하는 열에너지는 204줄(J)로 얼음이 녹아 ... ...
[과기원은 지금] KAIST팀 상금규모 26억 해양로봇대회 결선 진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팀 KAIST'가 KAIST KI 빌딩 앞에서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KAIST 제공 ■KAIST는 14일 기계공학과·
전기
및전자공학부 학생들로 구성된 팀이 국제 해양로봇 경진대회인 ‘MBZIRC 마리타임 그랜드 챌린지’ 최종 결선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아랍에미리트 정부가 후원하고 아부다비 과학성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만들어준 화석 연료도 모두 탄소의 화합물이다. 정보화 시대를 가능하게 만들어준
전기
도 대부분 석탄을 비롯한 화석 연료로 생산했다. 탄소를 이용해서 생산하는 에너지가 인류 문명의 눈부신 발전을 가능하게 만들어주었던 것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인류의 탄소 의존도는 더욱 빠르게 심화되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
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이를 감싸는 절연체인 미엘린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축삭이 미엘린으로 잘 싸여있어야
전기
신호가 새지 않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희소돌기아교세포의 APOE 단백질은 미엘린의 구성성분인 콜레스테롤을 축삭으로 가져가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APOE4 변이형을 지닌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절전모드'로 뇌 과부하 막는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22.11.26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실시했다. 정보가 전달될 때 양성자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
전기
신호를 분석해 확인했다. 분석 결과 이 효소는 지속적으로 양성자를 활성화하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효소는 ‘활성화 상태’, ‘비활성화 상태’ 그리고 ‘양성자를 누출시키는 상태’ 3가지 상태로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새들의 뇌에서 각각 얻어낸 살아있는 조직절편을 대상으로 두 신경회로의 연결성 변화를
전기
생리학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VMP 회로는 학습 초기에서 중기로 넘어갈 때까지 강도가 증가했지만 능숙해진 새에서는 오히려 그 강도가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음성 정보의 다양성인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